13일 국회 정론관에서 전국언론노조 YTN지부와 김종훈 민중당 의원이 “YTN 이사회는 최남수를 해임하라”고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41일째 ‘최남수 사장 퇴진’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고 있는 와이티엔(YTN) 노조가 “YTN 이사회는 최남수를 해임하라”고 촉구했다.
YTN 정기이사회가 열리는 13일 전국언론노조 YTN지부와 김종훈 민중당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남수 사장의) 언론인이라고 보기 어려운 정부 찬양 칼럼과 친일적인 식민사관 그리고 SNS 활동에서 드러낸 성희롱 취향은 YTN 사장이라기엔 너무나 창피하고 부적격한 모습이다. 회사 위기 상황에서 오히려 노사대립을 부추기는 대응은 경영자로서 무능을 넘어 위험을 드러냈다”며 “(이사회)는 적법한 절차를 통해 최남수 사장을 해임하라”고 밝혔다.
YTN노조는 이사회가 최남수 사장을 해임해야하는 이유에 대한 설명을 이어갔다. YTN노조는 “최남수씨는 취임 직후 사장이 되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맺은 노사합의를 헌신짝처럼 버렸다. 이후 출근 저지와 파업이라는 두 달 넘는 시간 동안 YTN은 창사 이래 최악의 분란과 갈등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YTN노조는 이어 “YTN의 생명과도 같은 방송은 과연 회생할 수 있을까싶을 수준까지 버려지고 망가졌다. 평창 동계올림픽과 남북대화 등 중요한 이슈는 취재도 못한 채 통신기사를 베끼다보니 오보가 줄을 이었다. 기자를 대신해 방송을 메운 출연자들의 ‘아무말 대잔치’는 다른 언론사들과 시민단체의 조롱을 샀다”고 밝혔다. YTN 노조는 또 “게다가 최남수 사장 옹립의 일등 공신인 류제웅 기획조정실자이 이건희 회장 성매매 동영상 제보를 삼성에 연결해준 사실이 드러나면서 언론사의 생명줄인 제보마저 끊겨버렸다”고 덧붙였다.
YTN노조는 “80%를 넘나드는 파업 참여율이 흔들리지 않고 유지되고 있고, 급여를 포기하고 생계가 어려워도 한결같은 대오를 유지하며 파업을 벌이는 이유는 단 하나 최남수 사장의 해임”이라며 “이사회는 YTN의경영을 책임지는 핵심 기구로서 결자해지의 자세로 최남수 사장 해임을 결의하고 주주총회를 통해 절차를 완성해야한다”고 촉구했다. YTN 노조는 또 “나아가 이번 이사회를 끝으로 임기가 끝나는 이사진은 언론의 가치를 지키고 시대정신을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인사들로 채워져야 한다”며 “YTN은 공기업들이 대주주로 구성된 준공영언론사다. 국민의 세금 위에 세워진 언론사인 만큼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있도록 올바른 이사진을 구성하는 것 또한 대주주인 공기업들의 책임이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지난 12일 열린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우원식 원내대표는 “정부가 바뀌고 지난 9년간 무너진 방송의 공영성을 회복하는 노력들이 MBC와 KBS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YTN 구성원들이 방송의 공정성을 위해 또다시 파업을 장기간 하게 된 이 상황은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비정상적인 상황이 한 달 진행되면서 방송 파행이 이어지고 있는 YTN 문제를 조속히 해결하고 경영정상화를 위해 이사회와 방통위가 책임 있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밝힌바 있다. 같은날 추혜선 정의당 수석대변인도 “최남수 사장은 공정방송을 위해 YTN노조와 합의했던 개혁안들을 걷어차고, 지난 적폐정부 인사를 임원진에 임명했다. 여기에 부적절한 언론관과 여성관은 이미 수차례 지적된 바 있다. 가장 뻔뻔한 태도는 자신이 이사회 의장이기 때문에 대표이사 해임건을 처리할 수 없다며 으름장을 놓은 것이다. 독재자와 다름없는 태도로, YTN을 뒤흔드는 발언만 하고 있다”며 “최남수 사장이 퇴진하지 않는다면, 이제 근본적 책임은 이사회로 돌아간다. YTN노조의 요구대로, 내일 이사회가 최남수 사장의 해임안을 반드시 논의·의결하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글·사진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