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1·2급 부서장 인사 단행
내부 부서동향·인물평 조사 직원
권력다툼 이용 논란 커지자 폐지
서훈 2번째 인사 ‘개혁의지’ 반영
국정원. <한겨레> 자료사진
국가정보원이 지난주 1급과 2급을 대상으로 한 대대적인 부서장 인사를 단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내부 권력다툼에 악용되는 정보를 양산하던 감찰실 수집관도 폐지했다. 문재인 정부 들어 대북 분야 역할론이 커진 국정원이 내부 개혁에 나선 신호로 읽힌다.
29일 <한겨레> 취재 결과를 종합하면, 국정원은 최근 정기 인사에서 내부 논란이 제기된 감찰실 수집관을 폐지했다. 그동안 수집관들은 국정원 각 부서의 동향과 직원들의 인물평 등을 수집했다. 이런 정보는 종종 내부 권력다툼에 이용돼 이들의 역할을 두고 논란이 일었다.
수집관 출신의 국정원 전직 인사는 “수집관은 옛 중앙정보부 시절부터 있던 것으로 안다. (직원들 관련) 세평도 수집하다 보니 각 부서에서 싫어했다”며 “그래서 김대중 정부 때 수집관 제도가 없어졌는데 겉으로만 사라졌을 뿐 실제로는 감찰조사 하는 사람이 그 업무를 맡아서 했다”고 말했다. 다른 국정원 관계자도 “내부에서 논란이 되니 감찰실 수집관을 폐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서훈 국정원장 취임 뒤 단행한 두번째 정기인사를 두고도 국정원 안팎에서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서 원장은 지난해 8월 ‘적폐청산’과 ‘내부 개혁’을 들어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에 나선 바 있다. 이번 인사에 대해선 서 원장의 개혁 의지가 적극 반영됐다는 평가와 함께 서 원장의 ‘친정 체제’가 구축됐다는 얘기도 함께 나온다. 국정원 사정을 잘 아는 한 인사는 “내부에선 국정원장의 ‘친정 체제’가 들어선 것일 뿐 개혁적 인사가 아니라는 반응도 있다”고 평했다. 국정원은 “정보기관의 조직·인사는 공식적인 확인이 어렵다”면서도 “친정 체제 구축은 사실무근”이라고 말했다.
서영지 정환봉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