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홍익표 정책위 수석부의장.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홍익표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이 28일 최근 불거진 동남권 신공항 논란과 관련해 지난 정부 결정안에 대한 분명한 문제가 드러나지 않는 한 김해 신공항 추진 방침을 뒤집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홍 부의장은 이날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출연해 “지난번 정부에서 이루어진 결정이지만, 그 결정이 중대한 어떤 문제나 절차적 정당성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 드러나지 않는 한 현재로서는 영남권 신공항에 대한 기존의 입장을 뒤집기는 쉽지 않다고 본다”고 했다. 2016년 6월 영남권 5개 광역단체장 합의에 따라 ‘김해공항 확장·대구공항 통합 이전’하기로 결론냈지만, 오거돈 부산시장 당선인이 2년 전 확정된 김해 신공항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히면서 ‘영남권 신공항’ 문제가 다시 쟁점이 됐다. 또 지난 26일엔 부산(오거돈)·울산(송철호)·경남(김경수) 광역단체장 당선자들은 동남권 관문공항에 걸맞은 신공항 건설을 위해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홍 부의장은 일단 이 논의는 중앙당과 관련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부·울·경 지역의 당선인들로서는 그런 입장을 얘기할 수 있지만, 현재 중앙당과 특히 관련 부처인 국토교통부의 공식 입장은 검토 대상이 아니라고 얘기했다”고 밝혔다.
또 민주평화당·정의당을 중심으로 '개혁입법연대’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것과 관련해 “우리가 적극적으로 검토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연정과 관련해선 “이 문제는 우리 당보다는 대통령과 청와대의 뜻이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연정 문제에 대해서는 좀 더 여러 가지 검토와 논의가 필요한 사안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홍 부의장은 제20대 국회 하반기 원 구성 협상과 관련해선 "정부·여당 입장에서는 운영위, 법사위, 예결위 등 세 개 핵심 상임위는 양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