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관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이 오는 8·25 전당대회에서 여성·노인·청년 등 세대·계층·부문별 최고위원 제도를 폐지하기로 한 것과 관련해 “심히 유감의 뜻을 밝힌다”고 2일 말했다. 그는 지난 2016년 전당대회에서 청년 부문의 최고위원으로 선출된 바 있다.
김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전국대의원대회 준비위원회 선출직 최고위원 5명을 결정했다. 이 같은 내용은 당무위원회 및 최고위원회 최종 의결을 안 거쳤음에도 언론에 공표돼 청년당원들이 우려를 표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우리 당이 여성·청년·노인 등 최고위원을 두기로 한 것은 여성, 노인뿐 아니라 사회적 약자로 대두된 청년들의 권익을 적극적으로 대변하기 위한 것”이며 “문재인 대통령이 당대표로 선출됐던 2015년부터 우리 당은 청년 목소리를 대변하기 위한 혁신안을 내놨고, 함께 해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주당이 ‘청년’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김 최고위원은 “전국 단위 최고위원 선출하겠다고 하면서 여성 최고위원은 반드시 1명은 포함하기로 한 것에 비해 청년들에 대한 배려는 부족했다”며 “이런 결정이 내려지기까지 청년의 목소리가 대변되지 않은 것은 매우 심각하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전국청년위원회는 현재 ‘청년당원들의 의사를 무시하는 결정에 대하여 의견을 수렴하고 개진하고자 한다’며 청년 최고위원 폐지에 대한 찬반 의견 등에 대해 설문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 최고위원은 “많은 분이 관심 가져주시고, 당원 목소리가 타당하다면 준비위원회가 결정을 재고해 주시길 청년대표로서 정중히 요청한다”고 했다.
더불어민주당 당헌을 보면 청년은 만 45살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민주당은 당헌에 따라 여성·노인·청년·노동·민생 등 5개의 세대·계층·부문에서 최고위원을 각 1명씩 선출했다. 또 청년 최고위원회 선출을 위한 선거인은 정기 전국대의원대회 청년대의원과 대학생대의원, 전국청년위원회 및 전국대학생위원회에 소속하여 활동하고 있는 권리당원 전원이다. 그러나 전국대의원대회 준비위원회(위원장 오제세)는 지난달 29일 2차 회의를 열고 시·도당 위원장이 돌아가며 맡는 권역별 최고위원과 세대·계층·부문별 최고위원 제도는 폐지한다고 밝힌 바 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