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아들 노건호씨(오른쪽)가 6일 오전 평양 중앙식물원 10·4 남북공동선언 기념 소나무 앞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노 전 대통령은 2007년 방북 당시 김영남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함께 평양 중앙식물원에 소나무를 심었다. 왼쪽은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평양/사진공동취재단
‘10·4 선언 11돌 기념행사’ 참석을 위해 방북했던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평양에서 “평화체제가 되려면 국가보안법 등을 어떻게 할지 논의해야 한다”고 말한 것을 두고 보수정당이 크게 반발했다. 여야의 안보 공방으로 번지는 모양새다.
윤영석 자유한국당 수석대변인은 7일 논평에서 “이해찬 민주당 대표가 5일 평양에서 자신의 오랜 정치 신념인 국가보안법 폐지에 대한 속내를 드러냈다”며 “이 대표가 국가보안법 폐지 추진 의도를 평양에서 표명한 것은 부적절하며 정치적 의도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자유한국당 남북군사합의검증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은 김영우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해도 해도 너무한 여당 대표의 조공외교” “(이 대표가) 국가보안법 철폐까지 언급했다고 하니 정말 망언 중의 망언” “지금 북한 지도부와 손잡고 사회주의 혁명이라도 하자는 건가” 등의 비판을 쏟아냈다.
이에 강병원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자유한국당은 여전히 국가보안법과 같은 냉전시대의 유물에 흠집이라도 갈까 전전긍긍하고 있다”며 “원론적 수준의 의견마저도 대역죄 취급 하고 나서는 것은 구시대적 반응”이라고 일축했다.
이 대표가 방북 시에 “제가 살아 있는 한 절대 (정권을) 안 빼앗기게 단단히 마음먹고 있다”고 말한 것을 두고도 야당의 비판이 거세다. 한반도 해빙 분위기에 비교적 유화적으로 돌아섰던 바른미래당도 이 대표의 ‘연속 집권’ 발언에 대해선 비판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집권당 대표답지 못한 속 좁은 마음을 내놓은 것”이라며 “평화 이슈는 어느 한 정당만이 독점해선 안 되는 초당적 이슈로 접근하고 해결돼야지만 지속 가능하고 대한민국 전체를 껴안을 수 있다”고 꼬집었다.
엄지원 정유경 기자
umkij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