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 <한겨레> 자료 사진.
서울 강남의 숙명여고에서 교무부장인 아버지가 쌍둥이 자매에게 시험 정보 유출이 제기된 가운데, 서울과학기술대에서도 같은 의혹이 제기됐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은 18일 “서울과학기술대학 교수인 아버지 학과에 아들이 편입해 아버지 강의를 들어 최고 학점을 받았다”며 “현재 학교는 자체감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의원에 따르면, ㄱ교수의 아들은 2014년 서울과학기술대에 편입해 2015년까지 매 학기 두 과목씩 아버지 강의 8과목을 듣고, ㄱ교수는 아들에게 모든 과목에서 에이플러스(A+)를 줬다. 또 다른 교수 과목에서 낮은 점수를 받자 아버지 수업을 재수강해 에이플러스를 받기도 했다. ㄱ교수의 아들이 에이플러스를 받은 과목은 아버지 수업을 빼면 주로 일본어, 스키와 스노보드 등 교양과목이었다. 더욱이 ㄱ교수는 평균 매 학기 3과목 이하를 강의했지만, 아들 편입 이후에는 강의를 5~6개로 늘렸다가 아들 졸업 이후에는 예전으로 돌아가 두 개 이하의 강의만 했다.
김 의원은 편입 과정에서도 특혜 의혹을 제기했다. ㄱ교수 아들은 편입 당시 다른 전공 출신이었지만 면접시험에서 세 명의 심사위원으로부터 평균 96점을 받아 총점 288점으로 공동 2등으로 합격했다. 당시 입학관리처에서 자녀 등 친인척에 대해 신고하라고 했지만 ㄱ교수와 해당학과는 이 사실을 숨겼고, 교육부 종합감사, 2015년·2017년 국회 국정감사 요구자료에서도 누락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김현아 의원은 “공정성과 객관성을 지킬 수 있는 상피제 등과 맞먹는 제도개선이 이번에 논의되어야 된다”고 말했다.
한편 서울과학기술대는 한 직원의 세 자녀 모두 해당 학교나 산학협력단에 근무 중인 것으로 밝혀지면서 해당 사안에 대한 자체감사가 진행 중이다. 해당 직원은 학과 교수들의 회계를 맡다 2015년 명예퇴직 했고, 이후 이 학교 산학협력단 연구센터에 비공개로 재취업했다. 이어 이 직원의 세 자녀는 일반연구원, 행정원, 일용직으로 채용됐다.
이정훈 기자
ljh924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