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안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본관 입구에서 문희상 국회의장과 악수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문재인 대통령이 정치권에서 논의될 선거제도 개편에 대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안이 각 당의 당리당략을 떠나서 중립적이고 합리적”이라며 “이를 기본으로 논의해나가면 쉽지 않겠냐”고 말했다고 국회 시정연설 사전 환담장에 참여한 인사들이 전했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1일 기자들과 만나 국회 예산안 시정연설 직전 국회의장 등 5부 요인과 각 당 대표 및 원내대표가 참여한 비공개 환담 자리에서 문 대통령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안이 각 당의 당리당략을 떠나 나름 중립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한다. 그 안을 기본으로 논의해나가면 더 쉬울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김 원내대표는 이에 “(자신은) 전적으로 찬성하며, 다른 3당 대표들에게도 ‘정치개혁 문제에 관해서는 굉장히 고차원 방정식이기 때문에 중앙선관위가 만들어낸 초안을 기초해 출발해서 협상하는 것이 빠르게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말했고 공감을 받았다”고 덧붙였다.
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19대 국회때 민주당 당 대표를 할 때 선거제 개편을 위해 노력했는데 그 때 당시 한국당이 반대해서 이루질 못했다고 하면서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정파에 상관 없이 좋은 안을 내지 않았느냐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앞서 중앙선관위는 2015년 연동형 비례대표제의 한 방식인 ‘권역별 정당명부 비례대표제’ 도입을 국회에 제안한 바 있다. 당시 선관위는 정당득표율에 따라 의석수를 갖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실시하되, 비례대표 순번을 적은 정당명부를 수도권·영남권·호남권 등 6개 권역으로 나누는 ‘권역별 방식’으로 시행하자고 권고했다. 또 현행 지역구 253석과 비례대표 47석으로 구성된 국회 의석을 지역구 200석, 비례대표 100석으로 조정해 ‘비례성’을 늘리자고 제안했다.
이날 문 대통령과의 사전환담 자리에서 정동영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은 선거제 개편을 강조한 반면 자유한국당 소속 이주영 국회 부의장은 “대통령제는 양당제에 짝이 맞다”며 이견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목에서 문 대통령은 “웃으면서 지켜봤다”고 정동영 대표는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지금 국민들의 협치 요구가 많다”며 “원내대표들은 11월부터 ‘여야정 상설협의체’를 시작하기로 약속해서 조만간 청와대에서 한 번 모시고 대화를 나눌 기회가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어 “5당 대표와도 만나게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고 정동영 대표는 덧붙였다.
송경화 김미나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