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학규 바른미래당 대표(왼쪽 둘째),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 등이 4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바른미래당이 2019년 공무원 보수가 올해보다 1.8% 오른 데 따른 국회의원 세비 인상분 1년 치, 약 182만여원을 기부하고 공공 부문의 긴축과 개혁을 촉구하기로 했다.
김수민 바른미래당 원내대변인은 4일 의원총회가 끝난 뒤 서면 브리핑에서 “세비 인상분 반환을 통해 공공부문의 긴축과 개혁을 촉구하는 것으로 당론을 모았다”며 “바른미래당 소속 국회의원 전원이 기부하는 방식을 채택했다”고 밝혔다. 김 원내대변인은 “문재인 정부가 한국 경제의 총체적 위기에 재정과 단기 부양책으로 연명하고 있는 상황에서, 세비 반환을 통해 공공부문의 긴축과 개혁을 촉구하려 한다”고 덧붙였다. 당내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4명을 뺀 바른미래당 의원 26명이 모두 동참하기로 하면서, 총 4700여만원 가량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
김 원내대변인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연말연시 성금 성격으로 기부하게 될 것”이라며 “의원들 의견이 동일하게 모였다. 정부 지출을 최대한 줄여야 하는 상황에서 세금이 낭비되고 정부 기관이 방만하게 운영되는 문제가 전혀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예산안 심사 국면에서 세비 인상에 반대했던 당시 바른정당 소속 의원 11명은 세비 인상분(2.6%)을 모은 성금 2200만원을 지진 피해를 겪은 경북 포항시에 전달한 바 있다.
바른미래당은 올해 예산안 심사에 돌입하며 정부 특수활동비와 함께, 저성과·단기 일자리, 공무원 증원 예산 등 공공부문 일자리 예산을 크게 깎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또 다른 논평에서 “‘이틀 알바’처럼 청년들을 가벼운 일회용품 취급하는 후진 정부의 안일한 문제의식에 놀라지 않을 수 없다”며 “4조7000억원(2019년)의 청년 일자리 예산이 얼마나 주먹구구식으로 지출되는지 짐작이 가고도 남는다”고 지적했다.
바른미래당은 아울러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는 방향으로의 선거제도 개편과 내년도 예산안 처리가 동시에 합의돼야 한다고 보고, 선거제 개혁 논의에 총력을 기울인다는 방침이다.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등 야 3당은 이날 오후 국회 본회의장 앞 로텐더홀에서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는 공동집회를 열고, 무기한 공동 농성을 시작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