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4개 단체 회원들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카카오 카풀 반대 3차 집회’를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naks@hani.co.kr
20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의사당대로에서 ‘3차 전국 30만 택시종사자 생존권 사수 결의대회’가 열렸다. 택시 기사들은 ‘카카오의 카풀 서비스’ 도입에 반대하며 국회 앞 의사당대로 차로를 가득 메웠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민주택시노동조합연맹, 전국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연합회, 전국택시운송사업조합 등 ‘택시 4개 단체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집회에 10만명 가까이 참여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정치인들이 달려갔다. 먼저 마이크를 잡은 것은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의원이었다. 전 의원은 민주당 택시·카풀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고 있다. 사회자가 전 의원을 소개하자 일부 집회 참가자들은 “물러나라!”고 항의했다. 전 의원은 발언을 시작했다.
“택시 산업의 생존권을 위해 오늘 자리에 함께 하신 택시 가족 여러분, 진심으로 반갑고 여러분들과 함께 한다는 말씀 드린다. 그동안 (지난 10일 분신으로 숨진 택시기사 최아무개씨) 분향소를 설치하고 거의 매일 두 세번씩 와서 여러분들과 함께 하고 말씀을 드렸다. 얼마나 택시 산업을 걱정하고 고민이 많으신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우리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최선을 다하고 있다. 택시 4개 단체장이 어제 사회적 대타협기구에 함께 해서 택시 산업의 발전 방향에 대해 지혜를 같이 모으겠다고 했다. 너무 너무 감사드리고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 택시 산업의 생존권이 침해되지 않도록 정부와 여당이 힘을 모아 대책을 세울 것 약속드린다.”
전 의원을 향해 일부 집회 참가자들은 “사라져!”라고 외치고 야유를 보냈다. 생수병을 들고 물을 뿌리는 이도 있었다.
전 의원은 여당 대표로 그동안 택시 노조와 사업자 단체들과 협상을 벌여왔지만 이날 집회를 막지는 못했다. 전날 오후 5시께 전 의원은 국회에서 ‘긴급 브리핑’을 열고 “4개 택시단체 대표 일동이 사회적 대타협기구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전 의원은 합의 과정과 관련해 “제가 엄청 노력했다. 제가 정말 울었다”고 자평했다. 전 의원은 그러나 “내일(20일) 집회를 멈춰달라고 했지만 택시 쪽에서는 그 부분은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했다”고 전했다. 대타협기구에 들어가되, 투쟁을 병행한다는 것이었다. 대타협기구 운영 방향과 논의 주제 등은 다음주에 확정될 계획인데, 최종 합의안 도출까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같은 시각 민주당 이해찬 대표는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기후변화대응 및 에너지전환산업 육성 특별위 출범식’에 참석해 축사를 했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정부 서울청사에서 여성가족부 업무보고를 들었다.
택시 4개 단체 회원들이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앞에서 `카카오 카풀 반대 3차 집회'를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naks@hani.co.kr
전 의원 뒤로 마이크를 잡은 것은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였다. 원내대표에 선출된지 9일째인 나 의원에게 ‘장외 행사’는 이날이 처음이었다. 정용기·임이자·김선동·조경태·윤상현·김정재 의원 등이 나 원내대표와 함께 했다. 택시 노동자들의 문재인 정부에 대한 반발이 거센 가운데 이들은 ‘대여 공세’의 수위를 높이기 위해 나 원내대표를 필두로 이날 현장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제가 이 자리에 온 이유를 알겠냐. 문재인 정권이 서민을 위하는 정권이 맞냐고 묻고 싶다. 서민을 위한다면 택시 업계 여러분들의, 노동자의 이야기 귀담아 들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한 논의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발표한 이번 카풀 정책은 분명히 잘못됐다는 점을 지적한다. 저희는 여러분의 목소리를 담아서 상생할 수 있는 카풀 정책을 같이 고민하겠다. 자유한국당과 함께 해달라.”
“자유한국당과 함께 해달라”는 나 원내대표의 외침에 집회 참가자들은 환호로 화답했다.
한국노총 출신의 임이자 자유한국당 의원이 마이크를 건네받았다. 그는 한국당 택시업계생존권보장 태스크포스(TF) 위원장을 맡고 있다.
“동지 여러분! 반갑습니다! 투쟁! 투쟁! 투쟁! 문재인 정권은 택시 종사자, 택시 노동자 생존권을 말살하는 대기업 카카오 카풀을 즉각 중단하라! 중단하라! 중단하라! 택시 종사자, 택시 노동자 생존권을 확대하는 택시 카풀 즉각 시행하라! 시행하라! 시행하라!”
이어 발언에 나선 정용기 한국당 의원은 ‘선거제 개혁’ 얘길 꺼냈다. 정 의원은 “선거제도 관련해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하면 국회의원 숫자가 60명이 늘어난다”며 “자유한국당은 국회의원 수를 오히려 30명 줄이자고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는 민주평화당 의원들도 참석했다. 정동영 대표는 “오늘 여러분의 함성이 정부와 여당에 각성을 촉구할 것”이라고 말하며 선거제 개혁을 얘기했다. 정 대표는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하며 국회의원 숫자를 현행보다 60명 가량 늘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한국당 정용기 의원과는 정반대 입장인 것이다.
“사실 지금의 정치제도로는 사회경제적 약자들의 목소리 제대로 대변하는 정치가 될 수 없다. 그래서 이 엄동설한에 3야당은 선거제도 개혁, 정치개혁에 당운을 걸고 있다. 소상공인, 자영업자, 사회적 약자의 목소리를 이 대의 민주주의 전당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정치권을 바꿔야한다 믿는다. 여러분과 저희는 동지다.”
각 정당은 카풀 이슈와 선거제 개혁에 대한 의견이 각기 달랐지만 집회 참가자들과 “동지”이며 “함께 하겠다”는 입장은 모두 같았다.
송경화 김미나 기자
freehw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