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김병준 비대위원장, 나경원 원내대표 등이 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중앙당사에서 열린 2019년 사무처 시무식에서 당직자들과 악수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자유한국당의 새 대표를 선출할 전당대회가 다음 달 27일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릴 것으로 보인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2일 <한겨레>에 “전당대회는 다음 달 27일 오후 경기 고양 킨텍스에서 열기로 잠정적으로 정했고, 비상대책위원회 의결을 거쳐 확정한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은 전당대회에 앞서 차기 지도부 선출방식 및 지도체제 변경 등도 논의하고 있다. 당원-일반시민 투표비율은 현재 ‘당원 70%, 일반시민 30%’인데, 당원 비율을 줄일지 현행대로 유지할지가 쟁점이다. 당권 주자들 사이에 지도체제도 큰 관심사다. 현재는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고 당 대표에 권한을 집중하는 ‘단일 지도체제’로 운영된다. 홍준표 전 대표 체제에서 ‘독주’ 논란이 생긴 뒤, 당 대표 선거에서 2~5등을 한 사람이 최고위원이 돼, 1등을 한 ‘대표최고위원’과 합의로 결정하는 ‘집단지도체제’로 돌아가자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이 역시 2014~2016년 김무성 대표 시절 집단지도체제로 인한 계파 갈등이 극심했던 사례를 들며 ‘절충형’으로 하자는 대안도 나온다.
이번에 선출되는 당 대표는 2020년 국회의원 선거 공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 어느 때보다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원내에서는 심재철·정우택·주호영·김진태 의원 등이 당권 주자로 거론되고, 원외에서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 김태호 전 경남지사, 황교안 전 국무총리 등이 후보군이다. 오세훈 전 시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출마 여부와 관련해 “최종 결심을 하려면 지도체제를 가늠할 수 있는 구체적 방향이 설정돼야 (내가)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지 생각을 정리할 수 있다”며 지도체제 확정 뒤 당권 도전 여부를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오 전 시장은 그러면서 “단일지도체제가 훨씬 더 효율적 체제”라고 말했다.
자유한국당은 오는 10일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열어, 지도체제 및 전당대회 룰을 규정한 당헌·당규 개정안을 확정한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