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자유한국당 ‘KBS의 헌법파괴 저지 및 수신료 분리징수 특별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서 나경원 원내대표와 원내지도부 및 임명된 특위 위원들이 손을 맞잡고 있다. 한국당은 최근 KBS의 일부 프로그램이 정치적으로 편향됐다고 주장하며 KBS의 수신료를 분리징수하고 중간광고를 금지하도록 하는 방송법 개정을 추진키로 했다. 관련해 이날 박대출 의원을 위원장으로 한 특위도 활동에 들어간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4일 “국민이 원하는 대로 케이비에스(KBS) 수신료 강제징수를 금지하고 수신료를 거부하는 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나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대책위-KBS의 헌법파괴 저지 및 수신료 분리징수 특위’ 연석회의에서 “공영방송 KBS가 헌법이 이대로 지켜질 것인가에 대한 화두를 던지고 있다”며 “북한의 만행 천암함 폭침에 대해 사과 한마디 받지 않고 미래를 위해 이해하고 가자는 정경두 국방장관의 안보관도 충격이지만, 국민 수신료로 운영되는 KBS 전파를 탄 것도 충격적”이라고 말했다.
또 “(KBS시사프로)‘오늘밤 김제동’은 김정은 위인맞이 단장 인터뷰를 여과없이 내보내 한국당 의원들이 출연에 응하지 않겠다고 밝히기도 했다”며 “KBS 일부 보도 프로그램의 편파성 시비가 계속되고 있고 국민은 이같은 공영방송을 그대로 둬야 하는지 강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청원에도 KBS 수신료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며 수신료 거부 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에서는 KBS 수신료 거부 운동과 ‘편파보도’를 연결지었다. 특히 김태우 수사관, 신재민 전 기획재정부 사무관 등 최근 잇따른 폭로 사태에 대한 보도가 불공평하다고 비판했다. 정용기 정책위의장은 “(KBS가) 정부 비판 기능을 상실하고, 정권 입맛에 맞춰 김정은 관련 보도를 이어가고 있다”며 “새해 첫 보도를 김정은 소식으로 도배하고, 그러면서 김태우·신재민에 대해선 끊임없이 편파 보도를 하고 있다. 과거 (최순실 사태 때) 고영태를 생중계하듯 한 것과 비교해 좌파 특유의 이중성이 드러난다”고 비난했다. 박대출 ‘KBS 수신료 분리징수 특위’ 위원장은 “김태우와 신재민은 (나라에서) 보호하겠다던 공익제보자인데 사지로 내몰고 있다”며 “내로남불 정권을 도와주는 게 홍위병 언론이고, 선두주자로 KBS가 나서고 있어 눈과 귀를 흐리게 하는 행태를 방치할 수 없는 지경”이라고 말했다.
이 과정에서 대책위에 참석한 김성진 자유연대 사무총장은 KBS를 비판하는 한편으로, “자유한국당도 광장으로 나와야 시민 사회의 에너지를 받을 수 있다”며 “조국·임종석을 (국회 운영위원회에) 불러 놓고 국민에게 실망만 안겨주고 여당이 한 수 위임을 보여주고 있다”며 자유한국당에 ‘쓴소리’를 건네기도 했다.
자유한국당은 앞으로 모니터링 팀을 운영해 방송 편향보도에 대한 접수를 받기로 했다. 또 ‘KBS 수신료 거부 챌린지’와 같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활용한 운동과 거리 현수막 게시 등 다양한 방안을 고민하며 관련 운동을 펼쳐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