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자유한국당에 입당한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 사무처 직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자유한국당에 입당하자, 당권 주자들이 황 전 총리를 견제하고 나섰다. 이번 당 대표 선거가 대선으로 향하는 ‘전초전’이 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초반 신경전부터 치열한 모양새다.
홍준표 전 한국당 대표는 17일 페이스북에 “황교안 레밍 신드롬으로 모처럼 한국당이 활기를 되찾아 반갑습니다”라며 “도로 친박당, 도로 탄핵당, 도로 병역비리당이 되지 않도록 한국당 관계자들과 당원들이 함께 노력해주시기 바랍니다”라고 적었다. 모두 황 전 총리를 겨냥한 말로, ‘레밍 신드롬’은 우두머리를 맹목적으로 따르는 집단행동을 비난하는 표현이다. 황 전 총리 입당 직후 “당내 친황(교안) 그룹이 형성됐다”는 보도가 나오자 이를 비판한 것으로 보인다. 홍 전 대표는 다만 얼마 뒤 ‘레밍 신드롬’ 단어는 삭제했다.
김진태 한국당 의원도 전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황 전 총리의 입당 기자회견에 대해 “좀 재미가 없었다. 정치를 시작하셨으니 임팩트 있게 입장을 밝혀야 하는데 총리로서 국회 대정부질문에 답변하는 느낌이 들었다”라며 “들어오신 건 환영하지만 검증은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 페이스북에 “홍준표, 김무성 전 대표도 전당대회 나오시길 바란다. 황교안 전 총리도 나온 마당에 이것저것 따질 것 없다. 다 나와서 경쟁해 보자”고 말했다.
황 전 총리는 이날 오전 한국당 당사를 찾은 뒤 기자들과 만나 ‘친황 그룹’에 대해 “나는 친한이다. 대한민국을 사랑하고 한국당과 친하고 싶다. 지금은 그런 거 따질 때도 아니고 따져서도 안 된다”고 말했다. 홍 전 대표의 ‘레밍 신드롬’ 발언에 관해서는 “홍 의원은 나하고 (검사) 초임 때 같이 한 분이다. 그 마음에 진정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황 전 총리 등장으로 한국당 전당대회 구도가 출렁이고 있다. 일부 국회의원들은 ‘황교안 지지’를 밝히며 당내 세력화에 주력하고 있다. 당내 초·재선 모임인 ‘통합과 전진’은 “지난 원내대표 선거에 이어 당 대표 선출 과정에서도 ‘바람직한 당 대표’의 기준을 세우자”며 전당대회에서 구실을 하기로 했다.
다음 달 27일 열리는 전당대회는 당 대표에게 권한이 집중되는 ‘단일 지도체제’라는 ‘게임의 룰’ 위에서 치러진다. 이 때문에 잠재적 대권 주자들이 막강한 당권을 잡아 자신의 ‘대선 발판용’으로 당을 끌고 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번 당 대표가 2020년 총선 공천 과정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어서다. 김무성 전 대표는 지난 15일 “단일지도체제 유지 결정은 아주 잘못됐다. 재집권하려면 모든 세력이 연대할 수 있는 통합의 길로 가야 한다”며 “이번 잘못된 결정으로 대선 전초전이 2년 반 당겨진 결과가 초래됐다. 대선 전초전이 빨리, 치열하게 전개되면 또 다른 분열의 씨앗을 잉태하게 된다”고 말했다.
한국당은 이날 오후 전국상임위원회를 열어 지난 14일 비상대책위원회가 의결한 단일지도체제 등 당헌·당규를 확정한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