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자유한국당 비대위원장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전당대회 불출마’ 뜻을 밝힌 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이 최근 입당해 당대표 선거 출마가 유력한 황교안 전 국무총리에게 “출마하지 않으셨으면 한다”고 말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24일 비상대책위원회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를 열어 “당이 겪었던 어려움과 혼란의 원인을 제공한 분, 관리를 잘못한 분, 당이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방관하고 어떤 기여도 해오지 않은 분들이 (당대표 선거에) 출마를 염두에 둔 행보를 하거나 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최근 입당한 황 전 총리, 오세훈 전 서울시장, 홍준표 전 대표의 실명을 거론했다.
특히 황 전 총리를 겨냥해 “친박(근혜계)·탄핵 프레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고, 당 기여가 낮다는 점이 우려된다”며 “자유민주주의·시장주의, 보수정치 통합에 걸림돌이 될 수 있으며 계파 정치가 살아날 가능성이 크다”고 작심하고 비판했다. 또 “(황 전 총리가 당대표가 된다면) 2020년 선거를 공세가 아닌 수세로 치르게 할 가능성도 크다”며 “정부 여당의 실정을 공격하기 전 상대가 이쪽을 공격할 프레임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비대위원장은 이어 “비대위 체제도 아닌데 당과 관련이 없던 분이 들어오자마자 당대표가 되는 것은 너무 쉽게 얻는 것”이라며 “(당대표 권한을) 귀하게 느끼지 못할 수도 있다. 이분들은 출마 대신 통합의 밀알이 되겠다는 각오를 다졌으면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2020년 총선에서 험지에 출마함으로 당에 기여하고 당이 새롭게 되는 데 앞장서 달라”며 “만약 이분들이 이런 태도와 자세로 각오를 다진다면 나도 그 말단에서 당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기 위해 무슨 일이든 하겠다”고 했다.
황 전 총리의 ‘아킬레스건’으로 불리는 탄핵 문제를 김 비대위원장이 공개적으로 거론하며 전당대회 불출마를 요구한 데 대해, 일각에서는 “김 비대위원장이 당권을 넘어 차기 대권주자 길을 닦는 것 아니냐”이라는 말이 나온다. 상대적으로 계파 논란에서 자유로운 자신의 존재감을 부각시키려 한다는 해석이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그는 ‘전당대회 출마설’을 “이렇게 (다른 후보들의 불출마 촉구를) 말했는데 출마할 수 있겠느냐”며 일축했다. 그러나 한 친박계 의원은 “역으로 그 후보들이 출마하면, 자신도 계파갈등 등 우려를 명분으로 출마할 수도 있다는 이야기 아니냐”며 “가능성을 완전히 닫지 않고 명분을 기다리는 것으로 보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 관계자는 “전당대회 승산 여부와 별개로, 다른 당권주자들과 달리 계파 논쟁에서 자유롭다는 인식을 주는 것이 앞으로 대권 주자로서 입지를 다지는 데도 유리하다는 이야기가 주변에서 나오는 걸로 안다”고 말했다.
한편, 지난 15일 황 전 총리가 입당한 뒤 한국당 전당대회의 판도는 급변하고 있다. 특히 ‘친황(교안계)’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친박(근혜계) 성향 의원들도 황 전 총리 쪽으로 결집하는 모습이다. 황 전 총리와 오 전 시장이 나란히 대구·경북(TK)과 부산·경남(PK) 지역을 시작으로 전국 각지를 돌며 세를 모으는 광폭 행보에 나선 가운데, 홍준표 전 대표도 ‘티브이 홍카콜라’ 구독자층 확장이라는 명목으로 24일 대구를 찾는다. 오는 30일 출판기념회 자리에서 당대표 출마 여부를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안상수·김진태 의원이 출마를 공식 선언했고, 심재철·주호영·정우택 의원,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 등도 후보군으로 이름이 거론되고 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