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전 국무총리가 29일 오전 서울 영등포 자유한국당 중앙당사에서 당 대표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kimjh@
자유한국당 선거관리위원회가 29일 전당대회 출마자격 논란을 빚은 오세훈 전 서울시장과 황교안 전 국무총리에게 전당대회에 출마할 수 있도록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하기로 했다.
한국당 선관위는 이날 오전 2시간여 회의 끝에 만장일치로 이렇게 결정했다고 밝혔다. 박관용 선관위원장은 회의 뒤 브리핑에서 “선관위는 2017년 19대 대선 경선 사례 등을 참고해, 2·27 전당대회 당 대표 및 최고위원 후보 등록 신청자는 경선 기탁금을 납부하고 입당원서 또는 당비를 정기납부했다는 출금이체 신청서를 제출한 뒤 당헌·당규 규정에 따라 입당한 경우, 당원규정 2조4항에 따라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의결해 달라고 비상대책위원회에 요청한다”고 말했다. 당원규정 2조4항은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최고위원회의 의결로 책임당원 자격 부여 요건을 변경할 수 있다’고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오세훈 전 시장과 황교안 전 총리는 현재 책임당원이 아니지만, 앞으로 비대위의 의결을 거치면 책임당원 자격을 얻어 전당대회에 출마할 수 있게 된다.
박관용 위원장은 “선거 관련 규정 해석은 선관위가 최고 의결기관이라는 규정이 있다”며 “오늘 선관위 결정으로 더는 논의가 있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비대위가 선관위의 결정을 번복해서는 안 된다는 뜻을 나타낸 것이다.
최근 김병준 비대위원장은 황교안 전 총리를 향해 “총선을 앞두고 당이 탄핵 프레임에 갇힐 수 있다”며 전당대회 불출마를 공개적으로 요구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이후 “개인 의견”이라고 해명했으나, 황 전 총리와 오 전 시장의 출마 자격을 놓고 당내 의견이 분분한 상황에서 또 한 번 부담을 안게 됐다. 이경미 기자
km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