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여야는 모두 이번 회담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전기가 되길 바란다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다만 보수야당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거듭 강조했다.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27일 의원총회에서 “(1차 북-미 정상회담인) 싱가포르 회담에 기초해서 어느 정도 성과만 나와도, 한반도에 새로운 전기가 되어 다시는 지난 분단체제처럼 돌아가지 않는 역사적 대전환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히 냉전체제에 의존해 음해공작을 했던 정치세력은 굉장히 위축되는 등 정치권에도 큰 변화가 올 것이고, 남북관계가 풀어지고 경제가 발전하면 ‘평화가 경제’라는 말을 실감하게 되는 상황이 올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민주평화당과 정의당도 환영의 뜻을 밝혔다. 정동영 평화당 대표는 “북-미 정상이 9·19 평양선언을 지지해달라”고 촉구했고, 이정미 정의당 대표는 “지난해 6월 센토사 합의에 이어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새 시대를 여는 구체적 결단이 있을 것으로 믿는다”며 “이번 회담에서 지구상 마지막 냉전의 종언과 한반도의 새로운 미래를 약속할 수 있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강조하면서도, ‘섣부른 합의’에 이르러선 안 된다고 경고했다. 자유한국당 김정재 원내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통한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전기가 되기를 바란다”면서도 “북한의 핵 시설은 물론 핵연료·핵무기까지 완전히 제거하는 ‘빅딜’이 합의될지, 아니면 한낱 ‘이벤트쇼’에 그치고 말지, 기대 반 우려 반의 마음으로 1박2일 정상회담을 지켜보겠다”고 했다. 김삼화 바른미래당 수석대변인도 논평을 내어 “김정은 위원장은 대북제재 완화는 물론 경제발전을 위해서는 ‘비핵화’가 첩경임을 명심하고, 완전한 비핵화 조처에 적극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