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전 국회 본회의에서 자유한국당 정용기 정책위의장(왼쪽)이 나경원 원내대표와 대화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바른미래당과 자유한국당이 선거제도 개편안 ‘신속처리 안건’(패스트트랙) 추진을 둘러싼 바른미래당 내홍의 배후를 놓고 신경전을 벌였다. 최근 바른미래당에서 패스트트랙 추진에 반대하는 일부 의원들의 탈당설까지 나오게 된 배경에 자유한국당이 있다는 논란을 놓고 두 당이 충돌하고 있는 것이다.
정용기 자유한국당 정책위의장은 22일 다른 여야 4당의 패스트트랙 공조에 대응하기 위해 열린 의원총회에서 “자유한국당이 이간질을 하고 있다는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의 발언은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전날 김 원내대표는 <한국방송>(KBS) 라디오 ‘김경래의 최강시사’와의 인터뷰에서 “‘일부 의원 탈당설’이 외부에서 돌고 있는데 대해 많은 의원들이 화를 냈다”며 “이 분들(자유한국당)이 철저하게 지금 우리 당에 있는 의원들을 친분을 이용해 설득하고 있고, 적어도 패스트트랙에 들어가지 말아달라고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 정책위의장은 “바른미래당 의원들을 만나서 탈당하라고 한 사실이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다만 “당을 떠나 동료 의원으로서, 몇 분에게 패스트트랙은 절대 안 된다, 어떻게 하면 바른미래당이 패스트트랙에서 빠져나올 수 있겠느냐고 진지하게 논의한 사실은 있다”고 말했다. 이런 공방은 지난 19일 정 정책위의장이
<교통방송>(tbs) ‘색다른 시선, 이숙이입니다’와의 인터뷰에 출연해 “바른미래당 의원님들 어제, 오늘 사이에도 몇 분씩 말씀 나눠봤는데 굉장히 고민이 많더라” “저희가 바른미래당 의원들에게 헌정사에 치욕스러운 이름을 남겨도 되겠느냐는 말씀을 드리고 있다”고 밝힌 것이 직접적인 계기가 됐다.
김관영 바른미래당 원내대표(가운데)가 2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채이배, 권은희 의원과 대화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여야 4당 선거제 합의안 패스트트랙 저지에 나선 자유한국당은 바른미래당에 “대화와 압박”(나경원 원내대표)을 병행하는 전략을 쓰고 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지난 14일 “바른미래당이 좌파 장기집권플랜의 조력자가 된다면 앞으로 정체성은 범여권으로 분류될 수 밖에 없다”고 말했으며, 패스트트랙 관련해 바른미래당의 긴급 의원총회가 열린 15일엔 “바른미래당 의원들에게 박수를 보내달라” “바른미래당의 양식 있는 의원들을 믿는다”고 독려하기도 했다.
앞서 자유한국당을 뺀 여야 4당(더불어민주당,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은 선거제 개편안과 함께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신설 법안 및 검·경 수사권 조정을 위한 형사소송법 개정안 등을 꾸러미로 묶어 패스트트랙으로 지정하는 방안에 의견 접근을 이뤘다. 그러나 바른미래당의 일부 의원들이 의원총회 소집을 요청하며 패스트트랙 지정에 반대하고 나섰고, 패스트트랙 지정에 찬성하는 의원들 일부도 공수처법 연동 등에는 불만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바른미래당이 수정 제안한 공수처법 내용에 대해 민주당이 검찰 권한 분산이라는 공수처법 취지를 흔드는 안이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어, 패스트트랙 추진에 제동이 걸린 상태다. (
▶관련 기사 보기 : 사분오열 바른미래…‘슬로트랙’ 된 선거제 개혁 )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