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이 8일(현지시각) 도쿄 재일본한국 YMCA에서 열린 제100주년 2·8독립선언 기념식에 참석하여 기념사를 하고 있다. 국가보훈처 방문단은 지난 7일부터 2박3일간, 3·1운동의 도화선이 된 2·8독립선언을 기리고 일본 거주 생존애국지사 위문을 위해 일본 도쿄를 방문했다. 국가보훈처 제공
26일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는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당의원들이 손혜원 무소속 의원 부친의 독립유공자 선정을 문제 삼았다. 피우진 보훈처장은 “과거보다 완화된 보훈 기준에 따른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태도 논란’이 불거지며 야당 의원들이 피 처장의 사과를 요구하기도 했다.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경찰 자료를 보면 (손 의원 부친은) 1947년 입북하고, 6·25 전쟁 때 북한과 접선해 활동했다는 혐의가 있다. 대한민국 근본을 파괴한 간첩혐의자”라며 “간첩도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느냐. 김일성도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느냐”고 피 처장을 몰아세웠다.
최근 더불어민주당을 탈당한 손 의원의 부친 고 손용우씨는 일제강점기 복역한 항일독립운동가지만, 광복 뒤 조선공산당 활동 이력 때문에 독립유공자 보훈심사에서 6차례나 탈락했다가 지난해 7번째 신청에서 유공자로 선정됐다. 독립유공자 서훈심사기준이 2018년부터 ‘북한 정부 수립과정에 직접 기여하지 않은 경우’로 완화된 까닭이다.
김 의원의 공세에 피 처장은 “간첩이나 김일성은 보훈 대상자가 아니며, 될 가능성도 없다”고 선을 그으면서도 “(손 의원 부친은) 청년단체 활동을 놓고 증언 기록이 상반돼, 그 신빙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심사위원회가 판단했다”며 선정 이유를 해명했다. 그러자 김 의원은 “(피 처장은) 대한민국 보훈처장으로서 자격이 없고 사퇴해야 한다”고 거듭 목소리를 높였다.
같은 당 정태옥 의원도 “‘사회주의자’ 기준 완화는 ‘손혜원 봐주기’로 의심받고 있다”고 거들었다. 정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과거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 김원봉 등 사회주의 계열 독립운동가들을 재평가해야 한다고 쓴 페이스북 게시글을 화면에 띄우고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을 한 김원봉 선생 서훈을 해야 하느냐”고 묻기도 했다. 피 처장이 “의견을 수렴 중이며 가정해 대답할 수 없다”며 즉답을 피했지만 정 의원은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한 사람이 보훈 대상자가 되면, 김일성도 훈장을 줘야 한다”고 거듭 날을 세웠다.
손 의원 부친 서훈을 둘러싼 공방은 피 처장 ‘태도 논란’으로 번졌다. 피 처장이 야당 의원의 질의 도중 질문을 끊고 답변을 하자 야당 의원들이 질의를 멈추고 피 처장의 사과를 요구한 것이다. 성일종 자유한국당 의원은 “국민의 대표인 국회의원이 묻는 자리인데, 보훈처장은 (국회에) 싸우러 왔느냐”고 힐난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