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이 지난달 8일(현지시각) 일본 도쿄 재일본한국와이엠시에이(YMCA)에서 열린 제100주년 2·8독립선언 기념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국가보훈처 방문단은 지난달 7일부터 2박3일간, 3·1운동의 도화선이 된 2·8독립선언을 기리고 일본 거주 생존 애국지사 위문을 위해 도쿄를 방문했다. 국가보훈처 제공
26일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이 출석한 가운데 열린 국회 정무위원회에서는 자유한국당 등 보수야당 의원들이 무소속 손혜원 의원 부친의 독립유공자 선정을 문제 삼았다.
김진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이날 정무위에서 “경찰 자료를 보면 (손 의원 부친은) 1947년 입북하고, 6·25 전쟁 때 북한과 접선해 활동했다는 혐의가 있다. 대한민국 근본을 파괴한 간첩 혐의자도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느냐. 김일성도 국가유공자가 될 수 있느냐”고 피 처장을 몰아세웠다.
손 의원의 부친 손용우씨는 일제강점기 항일운동을 하다 옥고를 치렀지만, 광복 뒤 조선공산당 활동 이력 때문에 독립유공자 보훈심사에서 6차례나 탈락한 끝에 지난해 7번째 신청에서 유공자로 선정됐다. 이전 정부까지는 광복 이후 좌익활동 경력이 있으면 ‘행적 불분명자’로 분류해 유공자 선정에서 배제했지만, 2018년 심사 기준이 변경돼 ‘북한 정부 수립 과정에 직접 기여하지 않은 경우’는 유공자 선정이 가능해졌다. 김 의원의 공세에 피 처장은 “간첩이나 김일성은 보훈 대상자가 아니며, 될 가능성도 없다”고 선을 그으며 “(손 의원 부친의) 청년단체 활동을 놓고 증언 기록이 상반돼 그 신빙성을 담보하기 어렵다고 심사위원회가 판단했다”고 답했다.
이날 피 처장은 해방 뒤인 1948년 월북해 북한에서 고위직을 지낸 의열단장 김원봉 선생의 독립유공자 서훈 여부에 대해 “의견을 수렴 중이고 (서훈 수여) 가능성은 있다”고 밝혔다. 피 처장은 “우리가 평화와 번영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북한 정권에 기여했다고 해서 검토하지 말라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물론 북한과 6·25 전쟁을 치렀지만 그런 부분을 이해해주시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에 정태옥 자유한국당 의원이 “그런 기준이면 김일성과 무슨 차이냐”고 따지는 등 논란이 일자, 보훈처는 공식 입장을 내어 “김원봉 선생은 현행 심사 기준으로는 포상이 어렵다. 보훈처장의 답변은 각계의 다양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다는 취지였다”고 밝혔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