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홍준표 전 대표가 1월30일 서울 여의도 더케이타워에서열린 출판기념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김종호 기자 kimjh@
자유한국당 홍준표 전 대표가 김학의 전 법무부 차관의 이른바 ‘별장 성접대’ 사건과 관련해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이 수사 선상에 오른 것을 두고 “(문재인 대통령의 딸인) 문다혜 사건을 건드린 보복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조국 민정수석을 끌어들여 곽 의원의 민정수석 시절 책임을 덮는 ‘양비론’도 함께 펼쳤다. 홍 전 대표는 얼마 전에도 “김학의 특검과 맞바꿔 드루킹 재특검을 요구하라”며 한국당 지도부를 위한 ‘조언’을 페이스북에 남긴 바 있다.
홍 전 대표는 30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김학의 사건을 둘러싸고 역공에 당하고 있는 자유한국당을 보노라면 참으로 어처구니없다”면서 “그중 곽상도 의원의 경우는 어이가 없다는 생각도 든다”고 썼다. 그는 “곽 의원은 박근혜 정권 초기 6개월간 잠깐 민정수석을 한 사람”이라며 “김학의 차관 한사람 검증 실수를 했는지 여부는 알 수 없으나 김 차관은 동영상 파동으로 일주일 만에 바로 경질되었고, 곽 의원은 정권 초기 바른말 하다가 미움받아 6개월 만에 민정수석 자리를 내놓고 경질된 사람으로 들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금 민정수석을 2년째 하는 조국과 비교해 보라”며 “김학의 사건 검증 실수 하나로 과연 곽 의원을 그렇게 비난할 수 있나”라고 덧붙였다. 또 “김학의 사건 무혐의 처리(2013년 11월11일)는 곽 의원과 채동욱 총장이 경질된 뒤 검찰총장 직무대행이었던 길태기 대검찰청 차장검사 때의 일”이라고도 밝혔다.
홍 전 대표는 “지금 저들의 목표는 김학의의 혐의 여부가 아니라 김학의를 2013년과 2014년 2차에 걸쳐 무혐의 처분한 과정에서 부당한 결정이 있었는지, 그 과정에서 법무부 장관과 청와대, 최순실의 역할이 무엇이었는지 초점이 될 것”이라며 “곽 의원은 문다혜 사건을 건드린 보복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앞서 25일 법무부 산하 검찰 과거사위원회는 김 전 차관에 대해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뇌물) 또는 뇌물수수 혐의로 재수사를 권고했으며, 곽상도 당시 청와대 민정수석(현 한국당 의원)과 이중희 당시 민정비서관에 대해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수사할 것을 권고한 바 있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