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민주평화당 대표가 8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내년 총선을 앞두고 민주평화당에서도 ‘제3지대’ 정계개편론이 모락모락 피어오르고 있다. 거대 양당과 거리를 둔 별도의 정치세력을 만들어 선거를 치르자는 것이지만, 평화당발 제3지대론은 주로 ‘호남 정치세력 규합’에 방점이 찍혀 있다.
지난 9일 저녁 평화당 의원들은 정의당과 공동교섭단체를 구성하는 문제를 놓고 국회에서 의원총회를 열었다. 평화당(14석)과 정의당(6석)이 공동교섭단체를 만들려면 의원 1명의 이탈도 있어서는 안 된다. 하지만 현재 최소 4명 이상의 평화당 의원이 반대하고 있어, 의총에서도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쪽으로 의견이 모였다고 한다. 의총 뒤 최경환 평화당 원내수석부대표는 “총선을 1년 앞둔 시점이어서 공동교섭단체 구성만큼이나 우리 당의 진로에 대한 논의가 있었다”며 “제3지대 구축에 대해서도 많은 얘기를 나눴다”고 전했다.
평화당의 제3지대론은 우선 호남에 지역구를 둔 의원들 간의 ‘호남 야권 재통합’을 출발점으로 삼고 있다. 최경환 원내수석부대표는 10일에도 “평화당, 무소속, 바른미래당 호남 의원들의 호남 야권 재통합이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이후 전국으로 확장해 중도개혁 노선의 제3지대를 형성하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호남 야권 재통합 이후 현재 내홍에 휩싸인 바른미래당의 손학규 대표 등과 함께 세력을 전국적으로 확장하겠다는 구상인 셈이다. 박지원 평화당 의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과거 김대중 대통령은 이기택 민주당 총재와 결별하면서 당사나 당의 자산 등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새 정당을 호남 중심으로 창당했다가 이후 전국정당으로 확장해 집권했다”며 “손학규 대표도 결단을 내리고 제3지대에서 함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는 평화당의 이런 ‘제3지대’가 결국 옛 국민의당이 되는 게 아니냐는 냉소도 있다. 이와 관련해 한 평화당 의원은 “제3지대를 원하는 이들은 양당제가 아닌 다당제를 통한 정치와 사회 발전을 꾀하려는 것이고, 제3당이었던 국민의당의 경험이 좋은 밑거름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김규남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