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파행이 장기화되고 있다. 26일 오후 국회.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여야가 국회 정상화를 위한 물밑 접촉을 이어가고는 있지만 국회 파행 장기화가 불가피해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이원욱 원내수석부대표는 26일 국회에서 ‘기자 방담회’를 자청해 “지난 23일 여야 원내수석부대표가 만나 제3의 합의안 초안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합의할 수 있는 부분은 합의하고, 그렇지 않은 부분은 숙제로 남겨두는 형식이었다고 한다.
3당 원내수석부대표들이 도출한 ‘제3의 안’에는 선거제·개혁법안 패스트트랙(신속처리 대상 안건) 지정에 대한 민주당의 사과나 철회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박찬대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패스트트랙에 올린 법안 처리에 관해 자유한국당은 ‘합의처리한다’는 문구를 원하고, 민주당은 ‘합의처리를 위해 노력한다’를 원하는데, 그 중간 어디쯤의 내용으로 정리해 오기로 각자 숙제를 맡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민주당은 그 이후 황교안 한국당 대표의 발언에 비춰볼 때 한국당이 ‘숙제’를 해 올 가능성은 낮다고 보고 있다. 황 대표는 25일 장외집회에서 “우리 당의 선거법, 국회가 채택해야 되지 않겠습니까”라며 “그것만 받으면 우리는 국회에 들어가겠다는 겁니다”라고 말했다. ‘패스트트랙 사과와 철회’라는 기존 주장보다 한 단계 더 나간 셈이다. 민주당 원내지도부의 한 인사는 “마음을 급하게 먹을 상황이 아닌 것 같다”며 “주고받기 해서 들어올 국면은 지난 것 같고, 한국당이 결심해서 조건 없이 들어오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어 보인다”고 말했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도 이날 기자들과 한 오찬 간담회에서 “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와 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의 간극이 너무 넓다. ‘독재자의 후예’ 논란 이후 두 원내대표가 감정적으로 더 멀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원철 정유경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