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5일 국회에서 열린 당대표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개혁법안의 패스트트랙(신속처리대상 안건) 지정 철회를 요구하며 61일째(본회의 기준) 국회를 열지 않고 있는 자유한국당이 국회 파행의 책임이 문재인 대통령에게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황교안 대표는 5일 국회에서 열린 ‘당 대표, 최고위원, 중진의원 연석회의’에 참석해 “대통령이 결단만 내리면 우리당은 즉각 국회에 들어가 국정 운영에 적극 협력할 의사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의 결단을 다시한번 촉구한다”고 말했다. 전날 청와대는 여야 5당(더불어민주당·한국당·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 대표와 5대 1 회담을 한 뒤 황 대표와 1대 1 회동을 제안하면서 2개월째 막힌 정국를 풀어보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대해 황 대표는 교섭단체 3당(민주당·한국당·바른미래당) 대표와 3대 1 회담을 한 뒤 1대 1 회동을 하자고 요구했다.
황 대표는 문 대통령이 오는 9일 북유럽 순방에 앞서 오는 7일 오후 회동을 제안한 것에 대해서도 “대통령이 자신들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국회를 빨리 열어서 대책을 논의해달라고 하면서, 순방 전 국회를 정상화하라고 여야 협상 가이드라인까지 제시했다. 지금 국회 문을 열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청와대와 여당의 불법적 패스트트랙 때문”이라고 맞섰다.
또 “청와대는 우리 당과의 협상 과정을 언론에 흘렸다. 심지어 제1야당을 배제하고 4당 대표 회동만 추진하려고 한 것 같다”며 “뒤에서 정말 꼼수를 부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황 대표는 이 자리에서 최근 당내에서 끊이지 않는 막말 논란에 대해 거듭 사과하고 경고했다. 그는 “이제 더 이상의 잘못은 용납할 수가 없다. 분명히 말씀드리자면 앞으로 또다시 국민들에게 상처를 주고 국민 신뢰를 떨어뜨리는 언행이 나온다면 엄중하게 책임을 물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