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른미래당 김중로 의원이 12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4일 평택 해군 제2함대사령부 내 무기고 거동수상자 접근 사건에 대해 경계작전 실패와 은폐 시도를 지적하고 있다. 연합뉴스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사람이 평택에 위치한 해군 2함대사령부 무기고에 침입한 뒤 도주해 군 당국이 수사에 나섰다. 사건을 은폐하기 위해 병사에게 허위 자백을 강요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12일 국회 국방위원회 김중로 바른미래당 의원과 국방부 등의 말을 종합하면 지난 4일 밤 해군 제2함대사령부 무기고에 신원이 밝혀지지 않은 ‘거동 수상자’가 접근을 했다. 이를 발견한 초병 두 명이 정지를 명령했지만 이에 불응하고 도주했다. 부대에서는 아직까지 거수자의 행방을 찾지 못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한 병사가 스스로 거수자라고 허위자백을 한 사실도 드러났다. 내부 인원을 확인하는 과정에서 한 병사가 자수했지만, 군이 사실 관계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허위자수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해군본부 관계자는 “‘많은 인원이 고생할 것을 염려한 장교의 제안으로 허위 자수를 하게 됐다’고 병사가 허위자백 사실을 인정했다”고 해명했다.
군은 외부로부터 침투한 대공혐의점은 없는 것으로 보고 평가 및 부대원 소행으로 추정해 상황을 종결하고 수사로 전환했다. 또 허위 자백과 관련해서도 수사를 진행해 이에 따라 관련자를 처분할 방침이다. 해군본부 쪽은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매우 부적절한 행위였음을 엄중하게 인식해 수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중로 의원은 경계작전의 실패와 은폐·축소에 이어 사건의 조작과 책임 전가까지 이뤄졌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휘통제실에 근무하던 영관급 장교가 부하인 병사를 거수자로 만들기 위해 허위자백을 지시했다”며 “어린 나이의 병사에게 있지도 않은 잘못을 덮어씌우고 본인들의 안위를 위해 진실을 조작했다”고 비판했다. 또 보고체계의 문제도 언급했다. 김 의원은 “군령권의 수장인 합참의장은 지난 11일 밤 연락을 취할 때까지 해당 사항을 인지조차 하지 못하고 있었다”며 “삼척항 사태 이후 우리 군은 경계태세와 보고체계의 강화를 약속했었지만 스스로의 한계만을 드러내고 말았다”고 강조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