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황교안 대표가 1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 회동이 머지않아 열릴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과의 일대일 회담을 고집하며 5당 대표 회동을 거부해온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일본 경제보복에 대한 초당적 대처’를 명분으로 회동에 응하겠다는 뜻을 밝혔기 때문이다.
황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일본의 경제보복으로 우리 경제가 예측하기조차 어려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다. 실질적 논의가 가능하다면 우리 당은 대승적 차원에서 어떤 회담이라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대통령-5당 대표 회동’의 형식도 가능하냐”는 기자들 물음에 “경제를 살리고 국가를 지키고 국민을 돕기 위한 모든 방식의 회동에 다 동의한다”고 답했다. 앞서 황 대표는 지난 5월 대북 식량지원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5당 대표와 만나자는 문 대통령의 제안을 ‘일대일 회동이 아니라면 의미가 없다’고 일축한 데 이어, 지난 8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일본 경제보복에 공동 대처하자며 제안한 ‘대통령-5당 대표 회동’도 “국내 정치용 이벤트”라며 거부했다.
정부·여당과 다른 야당들은 황 대표의 태도 변화에 환영의 뜻을 밝혔다. 이해찬 민주당 대표는 “황 대표가 문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동을 사실상 수용한 것”이라며 “지금이라도 대통령과 여야 5당 대표가 모여 남북미 판문점 회동, 일본 경제보복 대응 등 (현안에 대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초당적으로 허심탄회한 대화가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초당적으로 협력해서 위기를 극복하자는 건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반겼다. 바른미래당과 민주평화당, 정의당도 환영 입장을 밝혔다.
회동이 열릴 경우 일본의 수출 규제 조처에 대한 대책이 우선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회에서 만난 여야 5당 사무총장들은 대통령과 5당 대표의 회동을 오는 18일 여는 데 공감하고, 16일 다시 만나 일정과 의제를 확정하기로 했다.
김규남 이완 기자
3string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