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신임 대표(왼쪽)가 15일 오후 국회 자유한국당 당대표회의실로 황교안 대표를 예방하고 있다. 신소영 기자 viator@hani.co.kr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15일 대통령과 5당 대표 회동을 전격 수용하고 나선 데는, 청와대와 여권의 반복되는 회동 제안을 계속 거부할 경우 가뜩이나 정체 상태에 빠진 당과 황 대표의 지지율이 더 하락할 수 있다는 위기의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황 대표의 측근 그룹에 속한 한국당의 한 의원은 15일 <한겨레>와 만나 “경제상황이 심각하게 악화해 더 이상 회동을 미룰 수 없다고 판단했다. (무조건 거부한 게 아니라) 적극적으로 나설 타이밍을 보고 있었던 것”이라고 말했다. 일본의 무역 보복으로 국민적 위기감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회동의 형식과 의제가 뜻에 맞지 않는다고 대통령과의 만남을 거부한다면 자칫 ‘오만하고 무책임하다’는 부정적 인상만 굳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는 것이다.
지난 8일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대통령-5당 대표 회동’을 황 대표가 ‘들러리 서지 않겠다’며 거부했을 때도 당내에서는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당파적 이익만 챙긴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계파 갈등이 불거지고 ‘망언’에 가까운 말실수가 이어지면서 지도부의 리더십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것도 황 대표가 입장을 선회한 배경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5당 대표가 대통령을 함께 만난다고 해도 언론의 관심은 대통령과 제1야당 대표의 발언에 집중되는 만큼, 청와대 회동의 가장 큰 수혜자는 황 대표가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했다는 것이다. 황 대표는 이날 “어떤 정치적인 계산이나 목적을 갖고 이번 대통령 회담을 제안하지 않았다. 대통령과 여야 정치권이 지혜를 모아 난국을 타개하기를 바라는 마음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정유경 장나래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