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중국과 러시아 군용기의 한국방공식별구역 침범,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 사태, 북한 ‘단거리 미사일’ 추정 발사체 발사와 관련, 야권이 “정부의 대응이 안이하다. 청와대 안보관에 씽크홀이 뚫린 것”이라고 정부를 향해 총공세를 펴고 있다. 자유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은 다음 주 안보 문제를 논의할 ‘원포인트 국회’를 열자고 촉구했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는 25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국제사회에 선포한 것”이라며 “문재인 대통령은 판문점 남·북·미 회동 이후 사실상의 종전선언이라고 했지만 그것이 얼마나 안이한 인식이었는지 명백하게 드러났다”고 반발했다. 이어 “북한이 잠수함을 공개하고 미사일까지 발사하는 마당에 (우리 정부가) 식량 지원을 고집하는 것은 안보 이익에도 부합하지 않는 조치”, “문 대통령은 더이상 국민을 부끄럽게 만들지 말고 당당한 대북정책을 추진하라”고 강조했다.
나경원 원내대표는 “이제 청와대, 정부, 대통령이 안 하는 일을 국회가 나서야 될 때”라며 다음 주 원포인트 국회를 제안했다. 그는 “국방위원회, 정보위원회, 외통위원회 등 관련 상임위가 열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노력하겠다”며 “어제 한국당은 대중, 대러, 대일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는 결의안을 제출했다. 이 결의안이 국회에서 채택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오신환 바른미래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청와대가 다른 브리핑으로 혼선을 주고 있다. 이런 아마추어적인 행태가 정부의 안보능력을 의심하게 하고 국민의 안보 불안을 증폭시키는 원인”이라며 “정부는 침소봉대한다고 억울하지 말고 문제가 뭔지 스스로 돌이켜보라”고 지적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