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나경원 원내대표가 17일 오후 국회 원내대표실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나경원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조국 사태로 무당층은 증가하고 있지만 자유한국당으로의 지지율 흡수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데 대해 “한국당은 ‘노(No)답’이다. ‘민주당은 싫지만 한국당은 더 싫다’는 프레임에 갇혀 있다”고 분석했다.
나 원내대표는 17일 국회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국민들이 한국당이 답이라고 생각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필요하다”며 “더불어민주당에서 이탈했지만 우리에게 오지 않는 층들은 상당수가 촛불을 지지했거나 촛불을 들고 나왔던 분들이다. 이 정권 탄생의 주체였다는 생각 강했기 때문에 지지 철회가 오래 걸렸다”고 밝혔다. 이어 나 원내대표는 “이들을 우리 당 지지자로 전환시키는 것은 그때 우리 당이 전 정권에서 잘못한 부분에 과연 반성이 있었느냐에 대한 요구가 계속 있었던 것이고, 그것을 우리가 담아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은 과거 잘못한 부분을 두고 우리 안에서는 다양하게 보수가 분열되어 있다”면서 “생각은 다양하지만 결국 우리 당 안에서 반성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게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무당층을 흡수할 수 있는 전략에 대해 나 원내대표는 “정책으로 대안 제시할 수 있는데 결국 인물 교체도 필요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공천 과정에서 우리가 해야 되는 키워드가 통합, 헌신, 개혁이고, 결국 보수 통합의 기초가 되어야 될 것이다”고 밝혔다. 그는 또 “그 속에서 누군가는 헌신과 희생에 모습을 보여야 된다. 그러면서 개혁적 인사도 영입해야 된다”고 덧붙였다.
삭발 투쟁에 참여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지 않느냐는 질문에 나 원내대표는 “삭발을 하라고 하는 분들도 있지만 많은 분들이 반대도 한다“며 “삭발을 주저하는 게 아니라, 투쟁을 하는 것은 그것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극대화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종합적으로 판단하겠다”고 답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관련 영상] 한겨레 라이브 | 뉴스룸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