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16번째 영입인재인 주한 베트남교민회장 겸 이주민센터 동행 대표 원옥금씨(오른쪽)가 4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김영주 의원으로부터 민주당 당원교과서 등을 전달받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경쟁자 없이 ‘나홀로 공천’을 신청한 현역 국회의원에 대해서도 적합도 조사를 하기로 했다. 평가를 통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면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뜻이다. 의원 10명 가운데 6명이 당내 경쟁자 없이 본선에 직행하며 ‘무늬만 물갈이’라는 지적이 나오자, 이를 의식한 조처로 보인다. 민주당은 이미 비공개 결정을 한 ‘하위 20% 평가자 명단’이 적합도 조사 과정에서 공개되는 위험도 감수하겠다는 입장이다.
당 공직선거후보자추천관리위원회(공관위) 관계자는 4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19·20대 총선 땐 현역 의원 단독 신청일 경우 비용만 들고 실익이 없어 적합도 조사를 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이번에 적합도 조사를 건너뛸 경우 검증을 소홀히 한 것처럼 비칠 우려가 있어 ‘최선을 다해 검증한다’는 취지로 조사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공천 적합도 조사는 공관위가 공천신청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종합심사의 평가항목 중 하나로, 전체 공천심사 중 40%로 가장 높은 점수를 차지한다. 나머지는 정체성(15%), 기여도(10%), 의정활동 능력(10%), 도덕성(15%), 면접(10%) 등이다.
적합도 조사 결과 후보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면 전략선거구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다른 후보를 투입해 경선을 치르게 하거나, 아예 다른 후보를 전략공천할 수도 있다. 외부영입 인사가 투입될 수도 있고, 추가 공모도 가능하다.
공관위의 검증은 ‘하위 20%’로 평가된 현역 의원들에게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현역 의원 출마자 109명 중 단독 공천 신청자는 64명인데 이들 중 ‘하위 20%’(총 22명)에 속한 의원이 얼마나 되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이제라도 하위 20% 명단을 공개하자’는 주장도 나온다. 당 최고위원회는 최근 공개 여부를 재논의했으나 ‘비공개’로 재차 결론 내렸다. 하지만 ‘하위 20%’를 타깃으로 한 적합도 조사가 진행되면 자연스레 이들이 누구인지 알려질 가능성이 크다. 당 핵심관계자는 “당이 하위 20%를 공개하지는 않았지만 불가피하게 그런 경우가 생길 수도 있지 않을까 싶다”며 “공천 과정에서 혁신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약간의 긴장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명단이 사실상 공개되더라도 감수하겠다는 뜻이다.
다만 이런 과정을 거치더라도 대대적인 현역 물갈이는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도부 소속 한 의원은 “현역 의원 공천 배제는 경쟁력이 떨어지는 아주 예외적인 몇곳만 가능할 것”이라며 “단독으로 공천 신청한 현역 의원 대부분은 공천받을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전략공천 과정에 관여한 경험이 있는 한 의원도 “하위 20%라 해도 해당 지역구 현역 의원인데 외부영입 인사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을 것”이라며 “하위 20% 의원을 공천 배제한다 해도 대체할 인력이 별로 없다. 이번 외부영입 인재들도 약하다”고 평가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