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일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통합신당준비위원회 회의에서 정병국(왼쪽부터), 이언주, 박형준 공동위원장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오는 16일 출범을 목표로 하는 보수야권의 통합신당인 ‘미래통합당’의 창당 작업이 9부 능선을 넘었다. 통합신당준비위원회는 13일 국회에서 회의를 열어 현 자유한국당 틀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신당의 지도체제와 공천관리위원회(공관위)를 구성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총선 전까지 당의 대대적인 전면 교체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박형준 통준위 공동위원장은 이날 회의 뒤 기자들과 만나 “선거가 끝나고 이른 시일 안에 전당대회를 열어 새 지도부를 구성하기로 했다. (지도부를) 전면 교체하는 전당대회는 현실적으로 (선거 전에)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통합신당의 지도부는 현재 9명인 최고위 정원보다 늘릴 방침이지만, 몇 명으로 늘릴지는 14일 정해진다. 박 공동위원장은 “과거처럼 ‘지분 나누기’ 형태로 정당에서 각각 한 명씩 참여하는 방식은 지양하기로 했다. 모두 함께 추천해 통합 정신을 살리고 기존 한국당 최고위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공관위 구성 방식 또한 현재 한국당 공관위 구성원(9명)이 그대로 참여하고, 추가로 최대 4명까지 늘리는 방향으로 뜻을 모았다. 다만 얼마나 늘릴지는 창당 이후 확정할 방침이다.
지도체제 개편과 공관위 구성 논의는 공천을 코앞에 둔 상황에서 보수 통합의 최대 뇌관이었다. 애초 새로운보수당에선 김형오 위원장 체제의 한국당 공관위원회를 그대로 인정하자고 주장한 반면, 시민단체와 이언주 의원의 미래를향한전진 4.0(전진당)에선 재구성을 요구했다. 공관위 구성 방침이 아직 최종적으로 정해지지 않은 만큼 이 문제가 내부 갈등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작지 않다. 지상욱 새보수당 공동대표 겸 수석대변인은 이와 관련해 “새보수당 지도부는 현재의 김형오 공관위를 지켜야 한다고 했다.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했다.
한편 한국당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전국위원회를 열어 새보수당·전진당과의 합당을 의결했다. 신설 합당을 위한 수임기관 구성 등 합당 절차는 최고위에 위임했다. 이찬열 의원의 입당으로 한국당은 현재 106석이다. 새보수당(8석)·전진당(1석)과 합치면 미래통합당은 115석이 되지만, 향후 총선을 앞두고 비례대표용 위성정당 ‘미래한국당’으로 일부 인원이 이동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