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참여연대 등이 참여하는 정치개혁공동행동 대표단이 3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래통합당의 비례 대표용 위성정당인 미래한국당의 해산과 더불어민주당의 위성정당 창당 논의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에서 위성정당을 활용한 미래한국당의 비례대표 의석 싹쓸이를 막기 위해 개혁·진보진영을 아우르는 ‘선거연합정당’에 합류해야 한다는 기류가 확산되고 있다. 선거연합정당 추진을 위해 진보진영 원로와 시민단체들이 결성한 ‘정치개혁연합’(가칭)은 3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창당준비위원회 신고서를 제출했다.
<한겨레> 취재를 종합하면, 민주당 안에선 미래통합당이 원내 1당을 차지하는 상황을 막기 위해 선거연합정당 합류가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비례민주당을 직접 만드는 건 불가능해지면서, 지도부 안에서 세 가지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당이 비례대표 후보자를 내지 않고 선거연합정당에 후보자를 ‘파견’하는 방안, 비례대표는 내되 연대하는 방안, 각 당이 각개약진에 나서는 방안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당도 비례대표를 내고, 지지층에게는 우리 당과 연합정당에 표를 나눠주도록 하자는 의견도 있었으나, 실효성이 없다는 쪽으로 기울었다”고 전했다. 지지층을 향해 누구는 민주당을 찍고, 다른 누구에겐 선거연합정당을 찍으라고 할 경우 정치적 혼선만 가중시킬 것이란 이유다.
현재 민주당에서 유력하게 거론되는 안은 당이 독자적으로 비례대표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고 연합정당에 후보자를 파견하는 방안인 것으로 알려진다. 연합정당 소속으로 비례대표에 당선시킨 뒤 선거가 끝나면 당을 해산해 원래 소속 정당으로 복귀시키자는 복안이다. 당 관계자는 “현재로선 선거법 개정의 취지를 살려 소수정당을 배려하면서 미래통합당의 비례대표 의석 싹쓸이도 최소화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말했다.
한편, 개혁·진보를 아우르는 선거용 가설정당인 ‘정치개혁연합’ 창당추진위원회의 하승수 집행위원장은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민주당이 선거연합정당 참여 여부와 관련해 조속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 위원장은 “오는 16일까지 각 정당이 비례대표 후보 공천룰을 선관위에 제출해야 한다. 연합정당이니까 사전에 협의나 논의가 필요하다. 총선 준비 일정을 고려할 때, 이번주를 넘기면 현실적으로 일정이 너무 촉박해진다”고 설명했다. 변수는 원내 진보정당인 정의당의 태도다. 정치개혁연합은 정의당의 연합정당 합류를 반드시 성사시키겠다는 입장이다. 하승수 위원장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정의당이 선거연합정당에서 빠지면 연합정당의 의미가 퇴색한다. 정의당이 그동안 진보적 원내정당으로 역할을 해왔고 선거제도 개혁운동도 함께 열심히 했으니, 어떻게든 설득해보겠다”고 밝혔다. 민주당과 진보진영 일부에서는 정의당이 빠지더라도 민주당과 다른 소수정당으로 연합정당을 꾸려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