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선거 앞두고 기간당원 확보 과열경쟁”
열린우리당이 또다시 ‘유령당원’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해 1∼2월 사망자가 당원 명단에 오른 사실이 드러난 데 이어, 이번에는 본인 모르게 당원에 가입시킨 뒤 통장을 통해 당비를 빼낸 사건이 서울 관악구 봉천본동에서 불거졌다.
2005년 8월31일 전 가입해야 경선 투표 가능
그해 5∼8월 사이 당원 30만명 가까이 늘어나
당 “책임자 검찰 고발…시·도당 당무감사 실시” 열린우리당은 9일 “자체 진상조사를 거쳐 10일 책임자를 검찰에 고발하겠다”며 ‘일벌 백계’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장애인한테서 편법 당비 징수를 한 사례가 또 불거지는 등 사태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배기선 열린우리당 사무총장은 “모든 시·도당에 당무감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유령당원 실태는?=봉천본동에 사는 65살 이상 노인 156명이 지난해 7월 자신도 모르게 열린우리당 당원으로 가입되고,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 노인들은 여러 달째 월 1천∼2천원씩의 당비가 통장에서 빠져나간 것으로 드러났다고 <문화방송>이 지난 8일 보도했다. 당비는 정부로부터 교통수당을 지급받는 통장에서 인출됐다고 한다. 이와 함께 △당비를 노인 등에게 미리 나눠주고 매달 납부하게 한 사례 △본인 모르게 당원에 가입시켜 전화요금에서 당비를 자동으로 이체하도록 한 사례 등도 보도됐다. 또 9일에는 경남 김해에서 노인 피해 사례가 추가로 나왔고, 서울 도봉구에서는 장애인을 당원으로 등록시킨 뒤 장애수당 지급 통장에서 당비를 징수한 사례도 있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이날 열린우리당 홈페이지에는 비슷한 피해를 봤다는 글들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한목소리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이계진 한나라당 대변인은 “검찰은 열린우리당에 대해 즉각 수사를 착수해 통장번호를 입수한 경위와, 그동안 모두 얼마를 갈취해 갔는지 전모를 밝히고 책임자를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령당원 왜 생기나?=이른바 ‘종이당원’ 또는 ‘유령당원’은 5월 지방선거 후보 경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하게 될 기간당원을 확보하기 위한 과열 경쟁 탓에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 수는 지난해 ‘4·2 전당대회’ 직후인 5월까지만 해도 15만명에 그쳤지만, 지난해 8월31일 이후엔 45만명으로 크게 늘어 지금까지 비슷한 규모로 유지되고 있다. 여기서 8월31일은 당헌·당규상 의미있는 날짜다. 오는 5월 지방선거에 나설 후보 경선에서 한 표를 행사하려면 이 시점 이전에 당원으로 가입해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열린우리당에서는 이 과정에서 유령당원을 모집한 사례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 관계자는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기초의원 경선의 경우 대체로 한 선거구에서 50∼100명의 기간당원이 경선에 참여하게 된다”며 “그만큼 기간당원 한 사람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무리하게 당원을 모집해 문제가 생길 소지가 많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이미 한차례 유령당원 논란을 겪은 바 있다. 2004년 11월까지 7만5천여명 수준이던 기간당원 수는, 4·2 전당대회 직전인 2005년 2월 23만8천명까지 치솟았다. 이 과정에서 죽은 사람 이름으로 입당원서가 제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열린우리당 안에선 유령당원 문제에 대해 “제도가 현실과 동떨어져 생겨나는 부작용이므로 기간당원의 권한 축소 등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제도 운영상의 문제”라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과 비슷한 ‘책임당원’이 35만명 가량 있다. 하지만, 당헌·당규상 공직·당직 선거 피선거권을 제외하고는 일반 당원과 권한이 같은데다, 지난해 초 이 제도를 도입한 이후 당내 경선이 치러진 적이 없어 아직 별다른 잡음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이지은 박용현 기자 jieuny@hani.co.kr
그해 5∼8월 사이 당원 30만명 가까이 늘어나
당 “책임자 검찰 고발…시·도당 당무감사 실시” 열린우리당은 9일 “자체 진상조사를 거쳐 10일 책임자를 검찰에 고발하겠다”며 ‘일벌 백계’ 의지를 밝혔다. 하지만, 장애인한테서 편법 당비 징수를 한 사례가 또 불거지는 등 사태가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배기선 열린우리당 사무총장은 “모든 시·도당에 당무감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유령당원 실태는?=봉천본동에 사는 65살 이상 노인 156명이 지난해 7월 자신도 모르게 열린우리당 당원으로 가입되고, 이 가운데 절반 가까운 노인들은 여러 달째 월 1천∼2천원씩의 당비가 통장에서 빠져나간 것으로 드러났다고 <문화방송>이 지난 8일 보도했다. 당비는 정부로부터 교통수당을 지급받는 통장에서 인출됐다고 한다. 이와 함께 △당비를 노인 등에게 미리 나눠주고 매달 납부하게 한 사례 △본인 모르게 당원에 가입시켜 전화요금에서 당비를 자동으로 이체하도록 한 사례 등도 보도됐다. 또 9일에는 경남 김해에서 노인 피해 사례가 추가로 나왔고, 서울 도봉구에서는 장애인을 당원으로 등록시킨 뒤 장애수당 지급 통장에서 당비를 징수한 사례도 있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이날 열린우리당 홈페이지에는 비슷한 피해를 봤다는 글들이 올라오기도 했다. 이에 대해, 야당은 한목소리로 검찰 수사를 촉구했다. 이계진 한나라당 대변인은 “검찰은 열린우리당에 대해 즉각 수사를 착수해 통장번호를 입수한 경위와, 그동안 모두 얼마를 갈취해 갔는지 전모를 밝히고 책임자를 엄중히 처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유령당원 왜 생기나?=이른바 ‘종이당원’ 또는 ‘유령당원’은 5월 지방선거 후보 경선에서 투표권을 행사하게 될 기간당원을 확보하기 위한 과열 경쟁 탓에 만들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 수는 지난해 ‘4·2 전당대회’ 직후인 5월까지만 해도 15만명에 그쳤지만, 지난해 8월31일 이후엔 45만명으로 크게 늘어 지금까지 비슷한 규모로 유지되고 있다. 여기서 8월31일은 당헌·당규상 의미있는 날짜다. 오는 5월 지방선거에 나설 후보 경선에서 한 표를 행사하려면 이 시점 이전에 당원으로 가입해 있어야 한다. 이 때문에 열린우리당에서는 이 과정에서 유령당원을 모집한 사례가 적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당 관계자는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기초의원 경선의 경우 대체로 한 선거구에서 50∼100명의 기간당원이 경선에 참여하게 된다”며 “그만큼 기간당원 한 사람의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무리하게 당원을 모집해 문제가 생길 소지가 많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이미 한차례 유령당원 논란을 겪은 바 있다. 2004년 11월까지 7만5천여명 수준이던 기간당원 수는, 4·2 전당대회 직전인 2005년 2월 23만8천명까지 치솟았다. 이 과정에서 죽은 사람 이름으로 입당원서가 제출된 사실이 드러났다. 열린우리당 안에선 유령당원 문제에 대해 “제도가 현실과 동떨어져 생겨나는 부작용이므로 기간당원의 권한 축소 등 근본적인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제도 운영상의 문제”라는 의견이 팽팽히 맞서 있다. 한나라당의 경우, 열린우리당의 기간당원과 비슷한 ‘책임당원’이 35만명 가량 있다. 하지만, 당헌·당규상 공직·당직 선거 피선거권을 제외하고는 일반 당원과 권한이 같은데다, 지난해 초 이 제도를 도입한 이후 당내 경선이 치러진 적이 없어 아직 별다른 잡음이 나오지 않고 있다. 이지은 박용현 기자 jieuny@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