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상임선대위원장이 17일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시민당과의 선거대책위원회 합동 해단식에서 인사말하고 있다. 연합뉴스
4·15 총선 출마를 위해 지난 1월 국무총리에서 물러난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코로나19국난극복대책위원장이 24억3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해 직전 신고액인 2018년 12월31일보다 4억500만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지난 1월 임용됐거나 퇴직한 전·현직 고위공직자 90명의 재산등록사항을 24일 관보에 게재했다. 공시 내용에 따르면, 이 위원장은 퇴임 당시 보유하던 서울 서초구 잠원동 아파트 가액이 11억4400만원으로 신고됐다. 다만 이 위원장은 퇴임 뒤 총선 출마를 앞둔 지난 2월 이 아파트를 처분했다. 예금 재산으로는 본인과 배우자 명의로 모두 6억600만원이 등록돼 지난 2018년 말 신고보다 1억4300만원 늘었다.
이 위원장은 재산 변동 사유로 ‘급여 등’이라고 적었다.
이번 총선에서 서울 구로을에 당선된 윤건영 전 청와대 국정기획상황실장의 재산은 6억7900만원으로 종전보다 1억4400만원 늘었다. 윤 전 실장의 배우자는 성북구 돈암동 아파트(3억900만원)와 경기도 부천에 아파트 전세권(2억8천만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예금 재산은 본인과 배우자, 부모·자녀 예금 등을 포함해 모두 4억8천만원에 달했다. 고민정 전 청와대 대변인의 재산은 7억3100만원으로 1억5200만원 늘었다. 서대문구 남가좌동 아파트 전세권(5억5천만원) 가액이 1억원 정도 올랐다.
유송화 전 청와대 춘추관장은 총 7억6천만원이 증가한 18억35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유 전 관장은 예금 재산으로 12억3천만원을 신고해 이전보다 8억3500만원이 늘었다. 유 전 관장은 ‘주식 매도 등을 통한 금액 변동’을 재산 변동 원인으로 들었다.
현직자 가운데 재산이 가장 많은 이는 한광협 한국보건의료연구원장으로 94억3100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김기표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35억300만원)과 이성희 농업협동조합중앙회장(33억5400만원)이 뒤를 이었다.
재산이 가장 적은 이는 남구준 경찰청 사이버안전국장으로 7100만원을 신고했다. 이어 이수권 대검찰청 인권부장(1억2천만원)과 심재철 대검찰청 반부패강력부장(1억8천만원)이 뒤를 이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