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28일 국회 소통관에서 원내대표 출마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통합과 추진력’을 자신의 강점으로 꼽는다. 문재인 정부 초기 여당 정책위의장을 지내면서 많은 실적을 쌓았다는 점도 강조한다. 김 의원은 “원내대표가 되면 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정책을 직접 진두지휘하겠다. 원내대표가 직접 키를 잡으면 속도와 힘이 실린다. 다양한 대책을 만들고, 신속하게 집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여당 입장에서 야당의 반대는 ‘강력하고 신속한 집행’을 위해 반드시 넘어야 할 산이다. 김 의원은 “숙의의 총량은 유지하면서도 신속한 집행을 하기 위해서는 국회법을 개정해 숙의의 밀도를 올리는 수밖에 없다. ‘일하는 국회법’을 도입해야 한다”며 “이런 제도하에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걸 반복하다 보면 협상하고 타협하는 문화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코로나 위기 극복을 위한 방안으로 ‘사회적 대타협’을 강조했다. 김 의원은 “코로나 이후 세상의 변화 속에서 이익을 보는 산업, 기업, 분야가 있는 반면, 어려움을 겪는 산업, 기업, 분야도 발생한다”며 “이익은 공유하고, 고통은 분담하는 사회적 대타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개헌에 대해선 단호하게 선을 그었다. 그는 “경제적 어려움이 어마어마하게 닥쳐올 텐데, 경제를 지켜내고 일자리를 지켜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 개헌이 지금 등장해서 정쟁의 한복판에 올라오는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선거법 개정 여부에 대해선 “연동형 비례제를 유지하려면 변칙이 허용되지 않게 개정해야 하고, 그게 어렵다면 연동형 비례제는 유지할 수가 없는 것”이라며 “국회뿐 아니라 사회적 논의까지 거쳐 합리적인 결정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자신이 원내대표를 해야 하는 이유로 “통합의 리더십이 어느 때보다 필요한 시기”라는 점을 꼽았다. 당내 다양한 의견그룹과 부담 없이 소통이 가능한 적임자가 자신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문재인 정부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자문위에서 부위원장으로 국정과제 설계에 참여했다. 청와대·정부와 일로 손발을 가장 많이 맞춰본 게 바로 나”라고 강조했다. 정 의원은 2017년 5월부터 1년8개월간 민주당 정책위의장을 지냈다. 야당 시절에는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및 정치개혁특별위원회 민주당 간사도 맡았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