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달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원내대표 경선 출마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전해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당·정·청 협력의 적임자’라는 점을 앞세운다. 전 의원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선 당·정·청 간 실질적인 협력과 소통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인데,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그간 해왔던 경력, 함께한 시간들에서 정부와 일체감을 가지고 긴밀하게 소통하며 긴급한 현안에 대해 즉시 협력해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강점”이라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 핵심 측근이라는 점을 에둘러 강조한 셈이다.
시급한 입법 과제로는 ‘국회법 개정’을 꼽았다. 전 의원은 “여러 개혁 과제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제도적 토대부터 갖춰야 한다”며 “매월 임시회 소집 의무화, 상임위원회 및 소위원회 개회 의무화, 신속처리 대상 안건 및 추경예산 심사기간 단축 등이 도입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국회법 개정을 통해 20대 국회에서 처리되지 못한 개혁 입법, 민생 입법을 추진하고 가시적인 성과를 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전 의원은 자타가 공인하는 20대 국회 공직선거법 개정의 숨은 주역이다. 하지만 선거법은 지난 총선 때 거대 양당의 비례대표용 위성정당 출현으로 누더기가 됐다. 전 의원은 “개정 선거법은 한계를 노출했다”며 “제도 악용을 막기 위해 비례의석을 늘리는 방안,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등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동형 비례대표제 자체를 흔들기보다는 보완하자는 취지다.
개헌에 대해선 필요성을 적극 인정했다. 그는 “국회 개헌특위 논의를 통해 상당 부분 합의가 이루어지기도 했고 정부안이 이미 나와 있다. 야당 의지만 있다면 지방분권과 국민기본권 강화 등 합의된 부분에 대해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다”면서도 “당장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가장 우선순위에 둔다는 원칙하에 일을 처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야당과의 협상에 대해선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면서도 “야당이 합의안 자체를 일방적으로 번복한다거나 논의 자체를 물리적으로 막는 상황이 발생하면 이를 돌파해내야 한다. 180석이라는 의석수를 바탕으로 협상을 이끌어가겠다”며 ‘180석’의 힘을 강조했다. 추미애 대표 시절 경기도당위원장 몫 최고위원을 지냈다. 현재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민주당 간사를 맡고 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