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4일 오후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1년 10개월 만에 70%대를 찍었다. 이는 대통령 취임 4년차 진입 시점의 긍정률로는 역대 최고치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국갤럽이 지난 6~7일 전국 성인 1004명에게 설문 조사를 한 결과(신뢰 수준 95%·표본오차 ±3.1%포인트)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 긍정 평가 비율은 전주보다 7%포인트 상승한 71%로 집계됐다고 8일 밝혔다. 부정평가 비율도 지난주(26%)보다 5%포인트 하락한 21%였다.
연령별 긍정률은 18~29세가 66%, 30대가 77%, 40대가 85%였다. 50대(68%)와 60대 이상(64%)에서도 긍정률이 크게 앞섰다. 정치 성향별로 보면 진보층의 91%, 중도층의 69%가 문 대통령의 직무 수행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보수층에서는 긍·부정률이 46% 대 44%로 엇비슷하고 집계됐다. 한국갤럽은 특히 지난 3월까지 60대 이상·대구·경북 지역·무당층에서 문 대통령의 직무 부정률이 긍정률을 10~40%포인트까지 앞섰으나, 지난주부터는 모두 긍정률이 우세한 것으로 반전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한국갤럽 누리집 갈무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문 대통령의 직무 긍정률이 70%대를 넘어선 것은 2018년 7월 첫째 주(71%) 이후 처음이다. 긍정 평가의 이유로는 ‘코로나 19 대처’(53%)가 다수였다.
한국갤럽은 역대 대통령의 취임 만 3년 시점의 직무 수행 평가와 비교한 결과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고 밝혔다. 역대 대통령의 취임 만 3년 시점 직무 수행 긍정률은 노태우 대통령(1991년 1월)이 12%, 김영삼 대통령(1996년 2월)이 41%, 김대중 대통령(2001년 4월)이 27%, 노무현 대통령(2006년 3월)이 27%, 이명박 대통령(2011년 2월)이 43%, 박근혜 대통령(2016년 2월)이 42%였다.
한국갤럽은 이번 조사에서 정당 지지도도 함께 물었다. 결과를 보면 더불어민주당이 전주보다 3%포인트 상승해 46%, 미래통합당이 2%포인트 하락해 17%를 기록했다. 이어 정의당 7%, 열린민주당이 4%, 국민의당이 3%였다. 무당층은 22%였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누리집이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을 참고하면 된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