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 등 참석자들이 11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긴급재난지원금 기부를 약속하는 손팻말을 들고 있다. 이날 이 대표는 비공개 회의 때 신임 당 대표를 선출하는 전당대회를 오는 8월 개최할 것을 공식화 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더불어민주당이 차기 당 대표를 뽑는 전당대회를 오는 8월 열기로 했다. 통상 누가 당 대표 후보로 나서느냐가 관심거리지만, 이번에는 ‘이낙연 대세론’과 차기 대선 일정 문제까지 얽히면서 전당대회 개최 시기에 관심이 쏠렸다.
이해찬 대표는 11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공천뿐만 아니라 당의 운영도 시스템에 따라, 예측할 수 있게 가야 한다”며 8월 전대 개최 방침을 공식화했다. 이 대표의 임기가 8월에 끝나는 점을 고려하면, 늦어도 8월 말 이전에 전당대회를 여는 게 순리다. 그런데도 개최 시기가 논란이 된 건 대선주자 선호도 조사에서 부동의 1위를 달리는 이낙연 전 국무총리의 거취 문제 때문이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이 전 총리는 민주당의 차기 당 대표 영순위 후보다. 이 전 총리 쪽 일부 인사들은 ‘당 대표를 해야 당내 세력을 구축할 수 있고, 그래야 민주당의 대선 후보가 될 수 있다’며 이 전 총리에게 출마를 요청하고 있다. 문제는 당권·대권 분리 규정이다. 민주당 당헌 25조 2항은 “당 대표 및 최고위원이 대통령선거에 출마하고자 하는 때에는 대통령선거일 전 1년까지 사퇴하여야 한다”고 규정한다. 다음 대통령선거일은 2022년 3월9일이기 때문에 이 전 총리는 당 대표가 되더라도 대선 1년 전인 내년 3월에는 직을 내려놔야 한다. ‘7개월짜리 당 대표’인 셈이다. 이 때문에 당 일각에선 전당대회를 내년 3월 이후로 연기하고, 그때까지는 이 전 총리 등을 중심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꾸려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집중하자는 제안을 내놓기도 했다. 지도부의 한 의원은 “국가위기 상황인데 거대 여당이 당권 경쟁에 휘말리는 모습을 보이는 건 좋지 않을뿐더러, 코로나19 때문에 대규모 행사를 여는 것도 적절하지 않다”고 말한 바 있다.
문제는 이런 제안을 공개적으로 할 경우, ‘이낙연 몰아주기’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웠다는 점이다. 이 전 총리 쪽도 ‘당 대표를 하려면 정상적인 전당대회를 거쳐서 하는 게 옳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당 관계자는 “(8월 전대 방침은) 이 전 총리 쪽과 교감하고 결정한 것이 아니고, 원칙대로 결정한 것이다. 현장에 모이는 인원을 대폭 축소해 사회적 거리두기를 유지하되 온라인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