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 등 의원들이 16일 상임위원회 강제 배정에 항의하며 박병석 국회의장실을 항의 방문하고 있다. 김경호 선임기자 jijae@hani.co.kr
전날 상임위원회에 강제 배정 당한 미래통합당 의원들이 16일 국회의장실을 항의 방문했다. 통합당 의원들은 상임위원 직을 일괄 사퇴하기로 했다.
김성원 통합당 원내수석부대표는 16일 조태용, 태영호, 유경준 의원 등 통합당 의원 10여명과 함께 국회의장실을 찾아 전날 상임위 강제 배정에 대해 강하게 항의했다. 김 부대표는 “헌정사상 유례없는 의회 폭거를 단행해 대한민국 국회를 식물국회로 만든 박병석 의장에 강력히 항의했다”며 “강제 배정된 상임위원 자격을 바로 취소할 것을 강력히 요청했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전날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법사위·기재위·운영위 등 6개 상임위원장을 선출 강행하면서 해당 상임위에 통합당 의원들을 강제로 배정했다. 국회법은 배정된 상임위원 가운데 상임위원장을 선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통합당은 각 상임위마다 의원을 배치한 상임위원 명단을 국회의장에게 제출하지 않았지만, 박 의장은 상임위원장 선출을 위해 여야 의원이 모두 배치된 상임위를 6개만 먼저 꾸린 것이다. 국회의장실은 전날 “재선 이상 의원의 경우 기존 상임위 경력, 초선 의원의 경우 언론 보도 등을 통해 파악한 희망 상임위·민간 경력 등을 기준으로 상임위를 배정했다”고 설명했다.
통합당 의원들은 이런 상임위 강제 배정의 효력을 인정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김 부대표는 “어제 박병석 국회의장의 일방적인 강제 배정에 따른 상임위에서 의정 활동을 할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말씀드렸다”며 “국회 정상화를 위해 박병석 의장이 결자해지의 모습으로 강제 배정된 상임위원으로 구성된 상임위원장 선출을 취소할 것을 촉구했다”고 말했다. 통합당 의원들은 이날부터 개시된 법사위 간사 선임 등 상임위 일정을 전면 거부하기로 했다.
이에 대해 국회의장실 관계자는 “북한이 비무장지대에 군대를 보내겠다는 보도까지 나오는 마당에 법사위원장 등 상임위원장 자리를 놓고 여야가 다투는 모습이 과연 국민들의 눈에 합당하게 보이겠느냐”며 “상임위원 배정과 관련해서도 당초 통합당에 명단을 내달라고 세 차례나 공문을 보냈던 점 등을 의원들에게 설명했다”고 했다.
한편 전날 민주당의 단독 원구성으로 국회의 파행은 장기화될 것으로 보인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가 원구성 협상 실패의 책임을 들어 사의를 표명하면서, 남아있는 11개 상임위와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등 12개 위원장 선출을 위한 협상의 테이블이 깨진 탓이다. 통합당은 전날 강제 배정된 상임위원을 일괄 사퇴하는 등 국회 의사 일정을 거부하겠다는 태도다. 통합당의 한 중진 의원은 “의장이 여당의 뜻에 따라 이렇게 서둘러 일을 처리하면 국회가 경색 국면으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