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6.25 참전유공자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혁신 작업의 일환으로 정강·정책 개정 작업을 하면서 ‘민주화 정신 계승’을 새로 포함시키는 데 공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5·18 민주화운동과 2016년 촛불 정신의 계승, 세월호 참사로 대두된 국민 안전 문제 등을 담을지를 놓고도 난상토론을 벌였다고 한다. 미래통합당의 전신인 새누리당과 자유한국당이 그동안 폄훼하고 외면했던 가치들을 정강에 포함시킬 경우, 보수 정당의 획기적인 노선 전환으로 평가받을 것으로 보인다.
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강·정책개정특위는 22일 국회에서 두번째 회의를 열어 새 정강·정책에 담을 내용 등을 논의했다. 김영삼(YS) 정신을 계승한다는 차원에서 ‘민주화 정신’을 넣는 것에는 이견이 없었다고 특위 관계자는 전했다. 현재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안보 강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는 정강·정책에서 벗어나, 국민 중심의 정당, 공정이나 공동체,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한 미래 지향적인 대응책을 담자는 등의 의견도 쏟아졌다.
특히 이 자리에선 정강에 국민의 안전과 생명 수호라는 국가의 역할, 촛불로 대표되는 시민의식, 5·18 민주화운동 정신을 계승하자는 의견이 제기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에 참석한 한 특위 위원은 “세월호, 촛불, 5·18에 대한 의견이 나와 상당한 격론이 일었다”며 “민주화운동에 ‘5·18’을 꼭 넣어야 하느냐는 반대 의견도 있었고, 5·18 문제를 풀려면 막말을 했던 김진태·김순례 전 의원부터 사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세월호, 촛불 정신을 담자는 얘기엔 천안함 사건은 언급하지 않아도 되냐는 등 의견이 분분했다”고 전했다.
김병민 특위 위원장은 이날 회의가 끝난 뒤 <한겨레>와 만나 “회의에선 한나라당 시절부터의 정강·정책을 분석하고, 들어가야 하는 내용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했다”며 “사회적 약자와 어떻게 갈 것인가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팽목항 방문 건도 거론됐다”고 전했다.
통합당 비대위는 정강·정책에 새로운 시대정신을 담아내 외연 확장에 나선다는 구상이지만, 내부 반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이날도 보수 전통 지지층 반발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왔다고 한다. 통합당의 한 의원은 “주호영 원내대표가 5·18 망언에 사과한 것만으로도 일부 지지층에서는 크게 반발했는데, 5·18이라는 글자를 정강에 명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위는 오는 8월까지는 정강·정책 개정 작업을 마무리 짓고, 이에 걸맞게 당명을 변경하는 일정에 무게를 두고 있다.
장나래 이주빈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