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일 미래통합당 김성원 원내수석부대표와 국민의당 권은희 원내대표가 법무부 장관 탄핵소추안을 국회 의안과에 접수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당이 연일 미래통합당과 공조할 의지를 내비치며 야권 연대의 군불을 때고 있다. 판이 커진 내년 4월 재보궐 선거가 야권 통합의 기점이 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권은희 국민의당 원내대표는 21일 <시비에스>(CBS)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통합당과 굳이 (손을) 못 잡을 이유는 없다고 보인다”고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어 “김종인 비대위원장 체제의 정책 방향이 저희가 지향하는 바와 같기 때문에 그것을 기초로 활발하게 정책 공조와 연대가 논의되고 있다. 지금은 열려 있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국민의당은 전날 통합당과 함께 추미애 법무부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지난 3일에는 ‘윤석열 검찰총장 탄압금지 및 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공정한 직무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제출하기도 했다.
통합당과 국민의당은 오는 9월 정기국회 전 정책연대 출범을 조율하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이날 “중점적으로 다뤄질 정책에 대해 국민의당이 37개 정책과제를 선정했고, 그 과제를 통합당과 함께 추진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 논의를 하는 상황”이라고 했다. 다만 두 당의 온도 차는 극명한 편이다. 통합당 쪽은 지난 16일 관련 보도가 나오자 이례적인 입장문을 내어 “현재 통합당과 국민의당은 정책연대를 위한 협의가 있는 것은 사실이나, 일정 및 내용 등 구체적 사안은 협의된 바 없음을 알려드린다”고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눈길은 내년 4월 재보궐 선거로 쏠린다. 부산시장에 이어 서울시장 자리마저 공석이 되면서 야권에선 내년 재보궐 선거 승리를 발판으로 이듬해 대통령 선거까지 승기를 이어가야 한다는 요구가 표출되고 있다. 이 과정에서 통합당과 국민의당이 연대를 넘어 통합으로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잇따른다.
특히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2011년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앞두고 박원순 당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와 단일화를 한 적이 있어 안 대표의 지방선거 출마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권 원내대표는 재보궐선거 후보 단일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야권은 국민의 뜻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혁신에 대해서 국민의 판단을 받고 ‘국민이 됐다, 이 정도면 신뢰할 수 있다’라고 할 때 정치적 목표를 제시할 수 있다는 뜻”이라고 가능성을 열어뒀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