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11일 오전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대야리에서 수해 복구 봉사활동 중 잠시 생각에 잠겨 있다. 연합뉴스
“슈퍼여당답게 ‘일하는 국회’의 성과를 보여줬다.”
“야당과의 관계뿐 아니라 당내에서도 소통이 부족하다.”
14일 취임 100일을 맞는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에 대해 엇갈리는 당내 평가다.
취임 뒤 김 원내대표가 직접 진두지휘한 굵직한 현안은 21대 국회 원구성 협상, 부동산 대책 법안 처리 등이다. 행정수도 완성 제안도 그의 작품이다. 당내에선 원구성 협상 때 상임위원장을 모두 민주당이 가져오는 결과가 빚어진 것을 놓고 ‘아쉽다’는 분위기도 있지만, 미래통합당의 어깃장 때문에 뾰족한 방법이 없었다는 반응이 많다. 당 관계자는 “미래통합당의 끈질긴 요구에도 법제사법위원장을 가져오는 데 성공한 것은 평가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7월 국회에서 펼쳐진 ‘속도전’을 두고도 평가가 나뉜다. 부동산 대책 관련 법안을 통과시킬 당시 워낙 신속하게 밀어붙여서 해당 상임위 위원조차도 법안 통과 일정을 알지 못했다고 한다. 한 재선 의원은 “상임위 전체회의 때 부처 업무보고만 받는 줄 알고 질의서를 갖고 들어갔는데 부동산 관련 법안을 상정해서 바로 의결까지 해서 놀랐다”며 “상황 파악을 하는 데 한참 시간이 걸릴 정도였다”고 말했다. 반면 원내지도부 소속 한 의원은 “시간을 끌면 시장에 부작용이 커져서 원내대표가 결단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며 “부동산 대책 관련 법안들은 당내 논의가 끝난 법안들이라 추가 논의가 필요하지 않은 상황이었다”고 반론을 폈다.
‘행정수도 완성’과 관련해선 ‘국토균형발전이라는 측면에서 충분히 던질 수 있는 화두’라는 평가가 많다. 그러나 이 역시 당내 소통이 너무 없었다는 불만이 나온다. 한 충청권 중진 의원은 “이미 국회의사당 분원이 세종시에 지어지기로 돼 있는데, 김 원내대표의 발언으로 정쟁에 휘말리게 되면 분원 건립마저 어려워질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며 “정말 추진할 생각이 있다면 정교하게 전략을 짜야 한다. 최근 당 의사결정 과정을 보면 지도부가 정해서 의원들에게 통보하는 식”이라고 아쉬움을 표했다.
김원철 기자
wonchu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