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소속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들이 12일 집중호우로 침수피해를 본 전북 남원시 금지면을 방문해 이환주 남원시장(오른쪽 첫째)의 설명을 듣고 있다. 미래통합당 제공
미래통합당이 호남 보듬기를 통해 ‘영남정당’으로 고립된 이미지를 벗고 ‘전국정당’의 모습을 갖추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탈진영 전략에 따른 것이다. 호남 친화적 제도와 정책으로 민심을 잡겠다는 계획인데, 실제 당의 체질 개선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통합당은 12일 김 위원장 직속으로 국민통합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에 전북 전주 출신의 재선 정운천 의원을 내정했다. 국민통합특위는 호남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를 듣고 지역 정책을 챙기게 된다. 김은혜 통합당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나 “전국정당으로서 미흡했던 부분을 반성하고 그분들의 목소리를 더 듣겠다는 취지”라며 “호남 속으로, 국민 속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고자 하는 시도로 해석해달라”고 말했다. 국민통합특위는 현직 의원들이 호남 지역구와 자매결연을 맺는 형식으로 ‘호남 명예의원’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통합당은 아예 당헌·당규에 호남을 전략 지역으로 지정하고, 총선 비례대표 공천 때 일정 비율을 호남 출신으로 배정하는 규정을 넣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13일 발표하는 새 정강·정책 초안엔 ‘5·18 광주민주화운동 정신’이 담겼다. 이번 수해 복구 작업을 벌이면서도 호남 지역에 공을 들였다. 당 지도부는 지난 10일부터 이틀간 전남 구례 수해 현장을 방문한 데 이어, 13일에도 전북 남원에서 수해 복구 봉사활동을 이어가기로 했다. 남원 봉사활동에는 의원, 당직자, 보좌진, 당원까지 300명에 가까운 인원이 참석할 예정이다. 당 소속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위원들은 이날도 남원과 구례, 경남 하동군을 잇달아 찾아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지자체를 방문해 수해 복구에 필요한 예산 대책을 논의했다. ‘호남 홀대론’으로 비판받던 과거와는 달라진 모습이다.
김 위원장은 오는 19일 위원장을 맡은 뒤 처음으로 광주를 찾아 5·18 민주묘지에 참배하고 지역 경제인, 5·18 유족단체와 현장 간담회를 열기로 했다. 김 위원장이 직접 국민 통합과 관련된 메시지를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김 위원장은 전날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지나칠 정도로 호남 지역에 대해 별로 관심을 표명하지 않았다”며 “이번에 당을 새로 운영하는 과정에서 호남 민심을 파악하고 호남 유권자들이 어떤 생각을 가졌는지 들어보겠다”고 말했다.
호남 지역 분위기도 나쁘지 않은 편이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에 따르면 김종인 비대위가 꾸려진 뒤 첫 조사였던 지난 6월4일 광주·전라 지역에서 통합당 지지도는 10.9%에 그쳤으나, 지난 6일엔 21.8%, 10일엔 18.7%로 두배쯤 올랐다(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고).
통합당은 지난 4월 총선에서 호남 28개 지역구 중 12개 지역구에만 후보를 냈다. 당선자는 없었다. 20대 국회 때 새누리당 소속으로 호남 지역에 깃발을 꽂은 정운천 의원(전북 전주)과 이정현 의원(전남 순천)은 이번 총선에선 비례대표로 출마하거나 지역구를 옮겼다. 통합당은 그동안 당 차원에서 지역 구도 타파를 위한 노력이 부족했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