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통합당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9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무릎을 꿇고 참배하고 있다. 연합뉴스
광주 5·18국립묘지에서 무릎 꿇고 사과한 미래통합당이 비례대표 당선 순위권에 호남 인사를 배정하는 방안을 발표하는 등 ‘호남 끌어안기’에 속도를 내고 있다. 하지만 “무릎 사과에 진정성을 담았다면 그동안 반대해왔던 ‘5·18 3법’을 당론으로 채택하라”는 여당의 요구에 정작 원내지도부는 곤혹스러운 표정이다. 5·18 3법은 △5·18 역사왜곡처벌법 △5·18 공법단체설립법 △5·18 유공자예우법으로, 민주당이 당론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21일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5·18 3법 추진에 대한 원내지도부의 입장을 묻자 “신중하게 법안을 검토한 뒤 입장이 정리되고 난 다음에 답하겠다. 지금은 답할 단계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정운천 국민통합특별위원장이 생활수당 지급 등 유공자의 예우를 강화하는 법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데 대해서도 “유공자 단체에서 요청이 있어 검토를 하겠다고 한 것이지, 우리가 추진을 밝힌 바는 없다”고 선을 그었다. 5·18 관련 법안 추진에 신중한 입장을 강조한 것이다.
지난 19일 “당내 반대 의견이라는 건, 토론과 설득 과정을 통해서 의견을 조율할 수 있다”며 3법 통과 가능성을 열어둔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말과 달리, 원내지도부가 신중한 입장을 취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당내 반발 때문이다. 의원들 사이에서는 3법 가운데 특히 역사왜곡처벌법에 대한 반대 의견이 거세다. 통합당의 한 의원은 <한겨레>에 “5·18에 대한 발언 그 자체로 징역형에 처하도록 한다는 것은 위헌 소지가 있는 굉장히 위험한 발상”이라고 강조했다.
‘호남 인사 비례대표 우선 추천제’에 대해서도 원내지도부는 ‘국민통합특위의 자체안일 뿐, 사전에 협의한 적 없다’는 입장이다. 원내지도부의 한 관계자는 “김종인 위원장이 말을 먼저 던지는 스타일이니, 당내 기류 등을 파악해 어디까지 수용 가능한지 판단해야 할 것 같다. 위헌 소지가 있거나, 반발이 큰 법안도 있어 당내 중지를 모아가는 데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귀띔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