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호영 미래통합당 원내대표(왼쪽 둘째)가 2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코로나19 관련 긴급대책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종배 정책위의장, 주 원내대표,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 신상진 당 코로나19대책특위 위원장. 연합뉴스
미래통합당이 재확산 국면에 접어든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당내에 ‘코로나 특별위원회’를 가동했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는 2차 재난지원금과 4차 추가경정예산 등 직접 예산 지원 방안을 검토하자고 제안했다. 김종인 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은 23일 국회에서 ‘코로나19 관련 긴급대책회의’를 열어 “지난 확산 때보다 상황이 위급하다. 사회적 거리두기를 지역 상황에 맞게 현실적으로 하고, 재난지원금과 추가경정예산 처리 등 예산 지원 문제도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여야 합의를 거쳐 (국회에) ‘코로나 특위’를 구성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감염병 비상 상황에서 지방 보건소 등에 질병관리본부의 지휘권을 인정하는 것도 종합적 대응을 위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집단휴진에 들어간 의료계를 향해서는 조속한 현업 복귀를 촉구했다. 김 위원장은 “코로나로 상황이 대단히 엄중하니 국민 생명과 보건을 일선에서 책임지는 전공의의 무기한 파업은 중단돼야 한다. 정부와 의료계가 팽팽한 대치를 피하고 국민이 먼저란 자세로 한발씩 양보하길 당부드린다”고 덧붙였다. 이날 꾸려진 통합당 ‘코로나19 대책 특별위원회’에는 의사 출신인 신상진 전 의원이 위원장으로 내정됐다.
통합당이 ‘코로나 대응을 위한 여야 협력’을 전격 제안한 데는 ‘수세적 비판’이 아닌 ‘적극적 대안 제시’로 수권 정당의 면모를 과시하고, 8·15 광화문 집회 이후 확산되는 ‘통합당=전광훈’ 프레임을 무력화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코로나 재확산 이후 민주당이 제기하는 ‘통합당 책임론’에 대해서는 이날도 ‘정치적 공세’로 규정하고 공세적 대응에 나서는 모습이었다. 주호영 통합당 원내대표는 회의에서 “정부는 코로나 방역을 과학이나 보건으로 접근하는 게 아니라 ‘코로나 정치’로 접근하고 있다. 정쟁을 일삼고 책임을 떠넘기고 국민을 분열시키는 언행을 자제하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 지도부의 전향적 움직임과 달리 보수색이 강한 일부 의원은 최근의 확진자 증가를 ‘정권의 음모’ 탓으로 돌리며 지도부와 엇박자를 냈다. 3선인 한기호 의원은 페이스북에 “문 정부는 8·15 집회 후 거의 공갈, 협박 조로 검진을 받도록 국민을 겁박해 하루 2만~3만명이 검진받도록 했다. 교회 신자와 광화문 집회자들을 죄인으로 만드는 악행을 저지르며 청와대, 총리, 장관, 민주당, 언론을 총동원했다”고 주장했다.
김미나 이주빈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