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조선노동당 창건 75주년 경축 열병식이 10일 자정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렸다고 보도했다. 평양/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청와대는 11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전날 노동당 창건 75돌 기념 열병식과 관련해 “환경이 조성되는 대로 남북관계를 복원하자는 북한의 입장에 주목”한다며 기대감을 내비쳤다.
청와대는 이날 오전 서훈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긴급 상임위원회 회의를 열어 북한의 열병식 연설 내용을 분석한 뒤 브리핑을 통해 이렇게 밝혔다. 청와대가 ‘주목’한 것은 김정은 위원장이 ‘사랑하는 남녘 동포들’을 향해 ‘다시 두 손 잡는 날이 찾아오기를 기원한다’고 말한 대목이다. 과거 열병식 연설과 비교할 때 이례적인 표현으로 청와대는 받아들이고 있다. 청와대는 이와 함께 “(북한의) 향후 관련 동향을 면밀히 주시하고 관계처들이 조율된 입장으로 대처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청와대 브리핑 이후 통일부는 입장문을 내 “이러한 연설 내용이 한반도 평화와 남북관계 발전으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이를 위해 남북 간 대화 복원이 이루어지고 환경이 조성되는 대로 코로나19를 포함해 인도·보건 의료분야에서부터 상호 협력이 재개되길 바란다”고 했다. 외교부 역시 입장문을 통해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9월 제75차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강조한 종전선언과 동북아방역보건협력체 구상 제안에 대한 북측의 호응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국회 외교통일위원장인 민주당 송영길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코로나 이후 남북협력의 시기가 도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는 발언”이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청와대는 이날 브리핑 앞머리에서 “상임위원들은 상호 무력충돌과 전쟁을 방지하기 위한 남북 간 여러 합의사항들이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전했다. 이어 “서해상 우리 국민 사망사건이 조기에 규명될 수 있도록 우리측 제안에 북측이 전향적으로 호응해줄 것을 촉구하였다”고 했다. 우리 정부는 최근 북미·남북 관계 개선을 위해 공들여왔으나 지난달 서해 연평도 피격사건으로 인해 이런 노력이 수포로 돌아갈 처지에 놓인 상황이다. 청와대는 피격사건에 대해 공동조사를 촉구했지만 북한은 아무런 답을 내놓지 않고 있다. 청와대가 남북관계 복원과 관련한 북한의 입장에 대해 ‘주목’한다는 중립적인 표현을 쓴 것도 이를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에 공개된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등에 대해서도 예의주시했다. 청와대는 “상임위원들은 이번에 공개된 새로운 무기체계들의 전략적 의미와 세부사항에 대해 계속 분석해 나가기로 했으며, 이에 대비한 우리의 방어 능력도 점검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국방부 역시 이날 청와대 브리핑 뒤 “북한이 새로운 장거리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무기 등을 공개한 것에 우려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