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8년 ’김신조 사건’(1·21 사태) 뒤 일반인의 출입이 제한됐던 북악산 일부가 52년 만에 개방된다.
대통령 경호처는 29일 보도자료를 내어 “다음 달 1일 오전 9시부터 청와대 뒤편 북악산 북측면이 둘레길로 조성돼 개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서울 서대문구 안산에서 출발해 인왕산-북악산-북한산으로 이어지는 구간을 막힘 없이 주파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청운대 쉼터에서 곡장 전망대에 이르는 300m 구간의 성벽 외측 탐방로가 개방돼 탐방객들이 한양도성의 축조 시기별 차이를 한눈에 볼 수 있고, 한양도성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게 됐다는 게 경호처 설명이다. 이를 위해 군에서는 성곽 주변 철책을 대폭 조정하고 새로운 경계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대책을 마련했다.
북악산 지역 단계별 개방 개념도. 청와대 제공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2017년 대선 후보 당시 “북악산, 인왕산을 전면 개방해 시민들에게 돌려주겠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오는 2022년 상반기에는 북악산 남측면도 개방할 예정이다. 북악산 개방 사업을 담당했던 경호처 관계자는 “이번 북악산 개방을 통해 한양도성의 역사적 가치를 높이고 자연환경을 복원하며, 도심녹지 이용 공간 확대로 시민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특히 코로나로 지친 시민들이 잠시나마 둘레길을 거닐며 마음의 안식을 되찾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방역당국은 단체산행 대신 개별산행을 권장하고, 2m 이상 거리두기와 마스크 착용 등 코로나19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