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국회에서 2021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하기에 앞서 박병석 국회의장(왼쪽 세번째), 김명수 대법원장(맨 왼쪽), 더불어민주당 이낙연 대표 등과 환담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인사청문회 때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진행하도록 제도가 개선됐으면 한다는 의견을 국회의장 등과의 환담에서 피력했다고 청와대가 29일 밝혔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춘추관 브리핑에서 전날 문 대통령이 내년도 예산안 시정연설을 위해 국회를 찾았을 때 진행된 비공개 환담 내용 일부를 소개했다. 당시 환담에서 문 대통령이 “인사청문회도 가급적 본인을 검증하는 과정이 돼야 하지 않겠냐”고 하자, 박병석 국회의장이 “국회에서도 후보자의 도덕성 검증은 비공개로 하고, 정책 자질 검증은 공개하는 방향으로 청문회 제도를 고치려고 하고 있다”고 말했다고 한다. 이에 문 대통령이 “그 부분은 반드시 개선됐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밝혔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현재 국회에는 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진행하는 내용 등을 담은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이 발의됐지만, 논의 속도가 더디다.
문 대통령은 당시 환담에서 “우리 정부는 종전대로 (인사청문회를) 하더라도 다음 정부는 벗어나야 한다”며 “좋은 인재를 모시기가 정말 쉽지 않다. 청문회 기피현상이 실제로 있다. 본인이 뜻이 있어도 가족이 반대해 좋은 분들 모시지 못한 경우도 있다”고 어려움을 토로했다고 한다.
지난 9월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이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이 자리에선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에 도전한 유명희 통상교섭본부장 관련한 얘기도 나왔다고 한다. 김영춘 국회 사무총장이 환담에서 “(유 본부장의 결선) 승패에 상관없이 문 대통령이 연좌제를 깼다”는 취지로 먼저 유 본부장을 언급했다. 유 본부장의 남편이 정태옥 전 자유한국당 의원이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유 본부장을 적극 지원한 점을 환기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은 “부부는 각각의 인격체 아닌가. 각각 독립적으로 자유로운 활동을 하는 것”이라며 “남편 또는 부인이 누구인지 개의치 않고 인사를 해왔다”고 대답했다고 강 대변인이 전했다. 지난 2017년 임명된 민유숙 대법관도 배우자가 야당 소속이었던 문병호 전 국민의당 의원이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