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은 30일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검사들이 장관에 대한 공개 비판 행위를 ‘커밍아웃’이라고 표현한 데 대해 “성소수자 인권운동이 걸어온 역사성을 훼손하는 일”이라며 ‘커밍아웃’ 용어 사용 중단을 촉구했다.
정호진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커밍아웃은 성소수자가 자신의 성적지향이나 성별정체성 등을 스스로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며 추 장관과 검사들의 ‘커밍아웃’ 논란에 대해 “이는 커밍아웃이 갖고 있는 본래의 뜻과 어긋날뿐더러 성소수자 인권운동이 걸어온 역사성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2012년 국가인권위원회와 기자협회가 제정한 인권 보도 준칙에 의하면 ‘커밍아웃 : 현재 동성애자가 자신을 긍정하고 당당하게 성정체성을 밝히는 의미로 사용. 범죄사실을 고백하는 표현 등으로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필요’라고 적시하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추 장관과 검찰은 더 높은 인권 감수성을 지녀야 할 위치에 있으며 용어 선택에 있어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추 장관과 검찰, 언론을 향해 “앞으로 커밍아웃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때, 한 번 더 의미를 생각하고 표현해 달라. 더 이상 부적절하게 커밍아웃이란 용어를 남발하지 않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앞서 추 장관은 지난 28일 이환우 제주지검 검사가 검찰 내부망에 자신을 비판하는 글을 올리자 이 검사가 동료 검사 협박죄로 체포된 피의자를 가혹하게 수사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기사를 페이스북에 링크하면서 “이렇게 커밍아웃 해 주시면 개혁만이 답”이라고 적었다. 이에 최재만 춘천지검 검사 등 일선 검사들은 “나도 커밍아웃하겠다”며 추 장관을 비판하는 댓글을 잇따라 올렸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