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검찰총장에 대한 징계 수위가 예상보다 낮은 정직 2개월로 결정됐지만, 국민 다수는 징계의 강도가 여전히 세다고 생각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17일 나왔다.
리얼미터는 <교통방송>(TBS) 의뢰로 16일 전국 18살 이상 500명에게 윤 총장 징계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 ±4.4%포인트), 응답자 가운데 49.8%가 “징계 강도가 강하다”고 응답했다고 이날 밝혔다. “징계 강도가 약하다”는 답변은 오차범위 밖인 34.0%였고, “적절하다”는 6.9%에 그쳤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9.4%에 달했다.
“징계 강도가 강하다”는 응답은 대구·경북 지역(73.0%)에서 가장 많았고, 부산·울산·경남(59.6%), 대전·세종·충청(54.4%) 등에서도 절반 이상이 “징계 강도가 강하다”고 답했다. 반면 광주·전라에서는 “약하다”는 응답이 52.2%로 과반을 차지했다. 연령별로는 30대(57.6%)에서 “강하다”는 응답이 많았지만, 여권의 콘크리트 지지층으로 불리는 40대에서는 “강하다”(44.3%)와 “약하다”(45.8%)는 응답이 팽팽하게 엇갈렸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긍정평가)는 지난주보다 1.5%포인트 오른 38.2%로 조사됐다. 부정평가는 0.9%포인트 상승한 59.1%였다. 그간의 리얼미터 조사 결과 흐름을 보자면, 부정평가는 11월말 이후 계속 오름세다. 긍정평가와 부정평가의 격차는 20.9%포인트로 오차범위(신뢰수준 95%에 오차범위 ±2.5%포인트) 밖이다. 리얼미터 쪽은 코로나 대유행과 국민의힘 김종인 비상대책위원장의 대국민 사과, 공수처법 개정 등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풀이했다.
정당별 지지도는 국민의힘이 31.2%로 더불어민주당(29.9%)을 오차범위 안에서 앞섰다. 이어 국민의당 7.8%, 열린민주당 7.0%, 정의당 3.4% 순이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나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을 참조하면 된다.
노현웅 기자
golok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