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2월4일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통화를 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초청으로 다음 달 미국을 방문해 백악관에서 처음으로 만난다. 청와대는 “그간 한미 간 각급에서 한미정상이 가장 시급한 공통현안인 북한·북핵 문제에 대해 공동의 전략과 공조방안을 논의했다”며 “이를 바탕으로 한미정상이 북한 및 국제사회에 강력한 공동 메시지를 발신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16일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이번 정상회담은 양 대통령 간 첫 대면회담이자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두 번째로 발표된 정상회담”이라며 “한미동맹을 중시하고, 더욱 포괄적이고 호혜적으로 발전시키겠다는 양 정상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이번 정상회담이 △양 정상의 신뢰·우의를 공고히 하고 △바이든 행정부 초기 공고한 한미동맹의 탄탄한 발전 기반을 구축하며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책의 모멘텀과 호혜적 미래지향적 파트너십을 강화하고 △지역 글로벌 문제 관련 협력을 증대하는 계기가 될 거라고 설명했다.
한미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과 의제는 협의 중이다. 바이든 행정부가 반도체, 대용량·전기 차량용 배터리·희토류 등에 대한 공급망 검토 등 주요 정책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는 “이를 고려할 때 이번 한미정상회담은 코로나19 극복, 경제회복, 통상·투자 등 실질협력 증진 차원에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배출 결정이 의제에 오를지는 미지수다. 청와대 관계자는 “의제 협의는 전혀 안 된 상황이라 지금 단계에서 뭐라고 말씀드리긴 어렵다”며 “아마 의제는 꽤 포괄적으로 정하게 될 것이다. 보통 아주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고, 정상들이 편안하게 논의할 수 있는 의제 정하고, 그리고 원하는 사항들을 협의하게 돼 있다”고 말했다. 백신 수급이 논의 테이블에 오를지에 대해서도 “코로나19 백신 확보와 관련해선 정부 전 부서가 총력 대응해 협력 체제를 운영한다는 입장”이라며 “행정, 외교적 역량을 총동원해 당초 백신 도입 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되고 추가 백신 물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며 원론적인 입장만 밝혔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