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황우여 선거관리위원장이 2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전당대회 선거관리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취재진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느 때보다 치열한 당권 경쟁이 펼쳐진 국민의힘이 경선 ‘룰’을 둘러싼 중진-신진 간 세대갈등으로 진통을 겪고 있다.
국민의힘 선거관리위원회는 24일 오전 회의를 열어 경선 규칙을 논의했으나 내부 논의가 일단락 되지 않아 보도자료를 내지 않기로 했다. 선관위는 27일 다시 회의를 열 예정이다. 현재 가장 큰 쟁점은 ‘역선택 방지 조항’ 문제다. 이는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다른 정당 지지자들이 고의적으로 국민의힘에 불리한 후보를 선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장치로, 국민의힘 지지층이나 무당층만을 상대로 여론조사를 진행하는 것이다. 이른바 ‘당심’에 유리한 후보들에게 유리하다는 것이 당 안팎의 평가다. 국민의힘은 8명의 후보 가운데 5명을 솎아내는 예비경선에선 ‘당원 50%, 일반 국민 50% 여론조사’ 방식을, 본경선에서는 ‘당원 70%, 일반 국민 30% 여론조사’를 통해 당 대표 1명을 뽑는다. 선관위는 지난 18일 예비경선에서 ‘역선택 방지 조항’을 넣기로 결정했지만, 이날 회의에선 본경선 적용 여부를 놓고 의견이 갈렸다. 역선택 방지 조항을 주장하는 쪽은 “당 대표를 뽑는데 다른 정당 당원에게 의견을 묻는 게 논리적으로 맞지 않다”고 주장했고, 반대 입장에서는 “이미 당원 의견이 70%나 충분히 반영된다”며 반박하고 있다.
이런 갈등은 당내 신·구세대 간 셈법이 갈리면서 불거졌다. 최근 당 대표 후보 여론조사에서 30대의 수도권 원외 인사인 이준석 후보를 비롯해 소장파가 약진하고 있다. 당내 기반이 탄탄한 중진 그룹에선 당심이 좀 더 반영될 수 있는 ‘역선택 방지 조항’을 원하는 반면, 젊은 세대에선 민심이 폭넓게 반영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선관위 회의에서 30대 소장파인 김재섭·천하람 의원이 중진 선관위원들과 설전을 벌인 이유다.
다음 달 9~10일 예정된 본 투표가 다가올수록 논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나, 역선택 방지 조항을 없애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황우여 선관위원장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조항을 넣든 안 넣든 여론조사 결과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라면서도 “당 대표를 뽑는데 다른 당 사람이 와서 뽑고 갔다고 하면 국민도 납득이 어렵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26~27일 실시되는 예비경선 여론조사의 경우 샘플 추출 방식에 대해서도 이견이 나왔다. 당원 샘플 추출시 실제 당원 구성 비율을 적용하면 영남과 60대 이상 당원들에 너무 많이 편중된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당원 비율은 20~30대가 10%에 불과하지만, 50~60대는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지역별로도 호남은 2%대이고 영남이 50% 이상이다. 이에 전남 순천·광양·곡성·구례갑 당협위원장인 천하람 선관위원은 “당원 비율대로 당원 여론조사 샘플을 추출하면 2030세대와 호남 지역 등 이른바 ‘험지 민심’을 외면하는 결과를 낳고, 외연 확장도 어려워진다”이라고 주장했다.
오연서 장나래 기자
loveletter@hani.co.kr